국내 제조업의 투자 중심이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로 옮겨가고 있다.
저렴한 인건비와 파격적 투자 인센티브, 젊은 인구층이라는 장점이 국내 제조업의 생산라인을 아세안 국가로 이끌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한국 제조업 생산라인의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로의 이전현상과 원인을 분석·발표했다.
국내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중심축은 2011년 이후 중국에서 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으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다.
금액을 기준으로 볼 때 전체 해외투자 중 중국 비중이 2001~2010년 43.2%에 달했지만 2011년~2019년 상반기에는 31.0%로 12.2%p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비중은 13.4%에서 21.4%로 8%p 증가했다.
또한 신설 법인 기준으로 중국의 비중은 2001~2010년 64.6%에서 2011년~2019년 상반기 28.4%로 36.2%p 줄어들었지만, 아세안 비중은 13.5%에서 37.7%로 24.2%p 증가했다. 이는 중소 제조업의 아세안 생산라인 이전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아세안 국가 중 베트남에 투자가 집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전체 제조업 해외투자 중 베트남 비중은 90년대 3.7%에서 2017년 11.9%까지 확대됐다.
이 중 제조업 중소기업의 해외투자금액은 2014년 처음으로 대(對)베트남 투자금액이 중국을 역전한 이후 2017년 대중국 투자액(4억3000만 달러)보다 1.7배 더 많은 7억2000만 달러를 기록해 더욱 뚜렷한 이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국내 제조업 생산라인이 아세안으로 옮겨가고 있는 데는 저렴한 인건비와 파격적 투자인센티브, 젊은 시장이라는 이유가 있다.
아세안 국가는 인건비가 한국 대비 약 20% 이하 수준이다. 일본무역투자진흥기구 ‘2018년 아시아 진출 일본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한 아세안 8개국의 제조업 근로자 임금수준은 한국의 6~22%에 불과해 생산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제공하는 파격적인 투자인센티브도 아세안 국가의 매력도를 높이고 있다.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과세소득발생일로부터 4년간 법인세 면제하고 이후 9년간 법인세 50% 감면 등 파격적 투자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올 7월에는 베트남 총리가 직접 나서 삼성전자에 공장부지 임대료 면제, 호찌민 가전공장에 전용 전력 공급선을 제공한 바 있다.
다른 경제권을 압도하는 성장률과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다는 점도 아세안 투자이전 현상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아세안 5개국은 10년~18년 평균 5.3%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들 5개국의 세계 GDP 비중은 07년 4.6%에서 18년 5.5%로, 교역 비중도 3.5%에서 4.5%로 확대됐다.
뿐만 아니라 젊은 인구(20~54세) 비중이 대부분 50%를 넘는 등,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 또한 크다.
전경련은 제조업 생산라인의 아세안 이전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전경련은 아세안 국가에서의 투자기회 발굴, 이들 국가에서의 우리 기업의 투자 애로 해소를 위한 사업을 본격 전개할 예정이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이달 28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초청 ‘한-베 비즈니스 포럼’을 열어 한국과 베트남간 경제협력 강화 및 베트남 투자 환경 개선방안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아세안 핵심 5개국의 주한 대사 초청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한국 기업의 현지 비즈니스 애로를 직접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