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숙박 O2O 기업인 야놀자가 광고비 인상 논란에 휩싸였다. 충정 등 지방 제휴점을 상대로 광고비를 인상하려다 집단 반발에 부딪혀 이를 철회한 정황이 포착됐다. 업주들은 야놀자를 포함한 숙박 앱 업체들이 고액의 광고비와 수수료로 점주들의 부담을 높이고 있다며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달 17일 올라온 이 청원에 동의한 인원은 23일 오전 9시 기준 3255명에 달한다. 숙박업소 단체인 대한숙박업중앙회 경기북부지회가 소속 회원들에게 ‘청와대 국민청원 적극 참여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돌리며 독려한 결과이기도 했다.
경남 김해에서 모텔을 운영하는 한 점주는 “충청 지역에서 야놀자가 7월 1일부터 광고비를 대폭 인상하려 했다”며 “대전 유성구에 있는 점주 52명이 집단으로 반대해 철회했다”고 귀띔했다. 이에 야놀자 측은 “검토조차 없었다”고 단언했으나 기자가 야놀자 충청지사 영업직원과 점주와의 통화 녹취 파일을 들려주자 “충청 지사에서 본사와 논의 없이 자체 검토한 것이고, 본사에서 허락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광고비 인상은 없다”고 밝혔다. 야놀자 측은 오히려 억울함을 토로했다. 2012년 이후 광고비를 인상한 적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기존 사업자들과 O2O 업체와의 갈등은 새롭지 않다. 배달, 숙박, 승차 공유까지 플랫폼 사업의 사업모델은 개별 사업자와 경쟁하고 상생해야 하는 숙명을 안고 있다. 문제는 필연적인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다. 승차공유 O2O는 이 문제를 푸는 데 실패했다고 평가받는다. 카풀은 택시 업계의 반발에 가로막혔다. 카카오 카풀을 포함한 승차공유 스타트업들의 사업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플랫폼 사업자들이 기존 사업자들과의 갈등을 얼마나 잘 관리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유니콘 기업으로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상생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 야놀자는 2014년부터 4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매출이 88% 증가하며 급성장했다. 분명한 것은 야놀자 혼자 만들어낸 성과가 아니라는 점이다. 점주들이 공문까지 돌리며 서명에 나선 이유를 들여다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