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수소탱크 폭발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소경제(수소가 주요 연료가 되는 미래의 경제) 사회로 가는 길에 암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소경제 사회 실현의 전제조건인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앞서 1월 수소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전 분야 걸친 추진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수소경제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일단 산업통상자원부는 폭발한 수소탱크와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수소충전소나 수소차와는 전혀 다르다고 해명했다.
23일 강릉시 대전동 과학산업단지 내 강원테크노파크 강릉벤처공장에서 수소 탱크가 폭발했다. 이 사고로 2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쳐 강릉아산병원과 고려병원으로 후송됐다. 강원지방경찰청은 24일 오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 가스안전공사 등과 합동으로 사고 현장에서 정밀 감식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폭발이 난 수소탱크 3기(1기당 400㎥)의 부실시공·관리, 운영 업체인 S 업체의 조작 미숙, 부실 안전점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폭발사고가 강원테크노파크 내 강릉벤처 1공장 옆 벽면에 설치된 수소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는 수소탱크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 확산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일부 시민단체는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될 경우 수소충전소 설치 반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소탱크 폭발 리스크가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수소탱크를 사용하는 수소차가 '재계 2위' 현대차그룹의 미래 먹거리로 꼽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1998년부터 20년간 수소전기차 개발에 공을 들여 지난해에는 가장 진보한 수준의 수소전기차인 '넥쏘'를 출시한 바 있다. 정부가 자신 있게 수소경제를 외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현대차그룹의 수소전기차 기술에 대한 믿음이 자리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2월 2030년까지 총 7조6000억 원을 투자해 국내에서 연간 50만 대 규모의 수소전기차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5만1000명의 일자리를 신규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2040년까지 국내에 수소전기차 290만 대를 달리게 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수소탱크 안전성 문제가 확산될 경우 정부 계획은 물론 현대차그룹의 수소차 사업 차질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강릉 수소탱크 종류가 (현대차)연료전지차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것인지 현재로선 확인이 안된다"며 "따라서 현재로서는 강릉 수소탱크와 수소차에 들어가는 수소탱크의 차이점이나 공통점 등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수소탱크 폭발과 수소차 안전성의 관련성은 적다는 의견도 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이번에 폭발한 공업용 수소탱크 같은 경우 현대차 수소차에 들어가는 수소탱크와는 차이점이 있다"면서 "강릉 수소탱크 폭발은 고압용기가 폭발한 것이라 수소차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되지만 시선은 달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기영 산업부 대변인도 "이번 사고는 수전해 방식의 연구실험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수소차나 수소충전소와는 전혀 다른 경우"라며 "수소충전소 등은 고압·고농도 안전관리 규정과 국제표준에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