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먹거리인 수소 경제와 수소차가 올해 증시의 주요테마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정부와 대기업의 기술 투자 및 지원이 본격적으로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산업의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윤주호 메리츠종금증권 스몰캡 팀장은 28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제8회 이투데이 프리미엄 투자세미나: 수소차의 미래를 묻다’에서 “한국은 친환경 정책 및 인프라 강화를 진행 중”이라며 “수소 인프라 확대를 위한 법 개정이 진행되고 있고, 노후 차량 운행 금지 법안이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윤 팀장은 친환경 에너지 보급에 영향을 주는 정부 정책이 수소 인프라 확충을 기초로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소 경제라는 산업화가 정부의 기조라는 분석이다.
실제 국토교통부는 도심에도 수소차 충전소 도입을 할 수 있는 ‘국토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검토 중이다. 현행법은 고압가스 시설로 분류되는 수소차 충전소를 공동주택ㆍ의료시설ㆍ학교 인근 시설에 설치를 금지하고 있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준주거지역 및 교육시설 인근에도 설치가 가능할 전망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전국 수소차 충전소 310곳을 설립하고 3000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가 보조금 정책을 통해 수소차 테스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중 울산광역시가 수소차 시장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울산시는 앞선 2017년 12월부터 수소 택시, 2018년 1월부터 수소 버스를 시범 운영 중이며 택시를 포함한 수소차 운영을 2020년까지 4000대로 늘리고 복합충전소를 포함한 수소 충전소 12기를 구축할 계획(작년 3분기 말 기준 3기)이다. 아울러 울산은 수소차 양산 공장이 있는 도시이며, 국내 최대 부생수소 생산 지역이다.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이 쉬운 셈이다. 이 같은 인프라 구축은 미국 캘리포니아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윤주호 팀장은 “미국 캘리포니아는 ZEV 프로그램을 통해 친환경차가 가장 잘 정착된 지역”이라며 “캘리포니아 친환경차 비중 확대 이유는 규제(ZEV 프로그램) 때문이며, 울산시도 앞으로 친환경차 보급 등에 대한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독일, 일본 등도 정부가 수소 생태계 구성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며 “대표적으로 일본은 대기업들의 협업체를 통해 수소 에너지 인프라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목할 점은 ZEV프로그램 사례처럼 정부의 친환경차 보조금 지원과 친환경 의무 충족량 부족 과징금의 효과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정책으로 인해 친환경차 생산량 비중을 지속해서 늘려야 한다. 전기차ㆍ수소차 시장이 지속 가능한 부분이다.
국내 최대 완성차 생산 업체인 현대차그룹도 전기차뿐만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및 주행 기술 축적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가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프로그램 지원책을 쏟아 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윤 팀장은 “수소차 기업들의 성장과 주가 모멘텀은 과거 전기차 사례처럼 정부 정책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현대차 등 수소차 제조 가능 업체들이 정책 수혜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관련주 이슈는 수소차 제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주를 보면 좋을 듯하다”며 “일본(2020년 도쿄올림픽 등)ㆍ중국(2022년 동계올림픽 등) 등 주요 국가들의 수소차 관련 이슈도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