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점 1층에서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연준 통화정책결정이) 생각보다 도비시(통화완화적)했다. 시장도 그렇게 반응했다”고 운을 뗀 후 “눈에 띄는 점은 금리인상에 인내심을 갖는다고 했고, 대차대조표 정상화도 조정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경제전망 리스크에 대한 평가도 없었는데 불확실성이 높으니 연준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상황을 보면서 신중하게 (결정해) 하겠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또 “연초 연준이 조금만 빨리 (인상을) 안했으면 시장안정에 도움이 되겠다고 말했었는데 어제 결정은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일 시무식 직후 한은 기자실을 찾아 가진 신년다과회에서도 “올해 통화정책은 연준의 금리인상 보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연준이 금리인상을) 천천히 간다면 시장안정차원에서는 좋아 보인다. 그랬으면 한다”고 희망 섞인 언급을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은의 추가 금리인상 시기도 상당기간 미뤄질 전망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요인 중 하나는 연준과의 정책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불안심리 완화 차원이었기 때문이다.
현재 한은과 연준 기준금리는 각각 1.75%와 2.25~2.50%로, 금리차는 75bp(1bp=0.01%포인트) 역전돼 있는 상황이다. 이 총재는 지난해 초 연임을 위한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에도 “한미간 기준금리 100bp 차는 부담스런 수준”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었다.
연준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면서 금리결정의 무게중심은 금융불균형 쪽으로 옮겨질 수도 있겠다. 실제 이 총재는 24일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동결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실물경제가 감내할 수 있다면 금융 불균형의 확대는 막는 게 필요하다”며 “한두 달 사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은 사실이나 금융안정리스크, 특히 가계부채라든가 여전히 경계를 늦출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도 여전하다. 지난해 12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4조9000억 원 증가해 2016년 11월(6조1000억 원 증가)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