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견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경제’와 ‘혁신’이었다. 문 대통령은 모두 발언의 3분의 2 이상을 경제에 할애했다. ‘경제’는 35차례, ‘혁신’은 21차례 언급됐다. 과거 ‘소득주도성장’을 강조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한 차례밖에 언급되지 않았다. 집권 중반기 핵심정책으로 ‘혁신성장’,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문 대통령은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영향으로 고용 부진에 영향을 미쳤던 점은 일부 인정했다. 하지만 근본적 문제는 제조업 침체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전통 주력 제조업의 부진도 계속되고 있다. 분배의 개선도 체감되고 있지 않다”며 “자동화와 무인화, 온라인 소비 등 달라진 산업구조와 소비행태가 가져온 일자리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졌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혁신성장’ 카드를 꺼냈다. 또 당면 과제인 ‘불평등 해소’를 위해선 J노믹스의 기본 축인 ‘사람중심 경제’와 ‘혁신적 포용국가’를 통해 ‘함께 잘사는 경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미래의 희망을 만들면서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 혁신”이라며 “추격형 경제를 선도형 경제로 바꾸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새로운 시장을 이끄는 경제는 바로 혁신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경제정책 기조에 변화를 주지는 않겠다는 점은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이야말로 ‘사람중심 경제’의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말해주고 있다”며 “경제정책의 변화는 분명 두려운 일이다. 시간이 걸리고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못박았다.
특히 문 대통령은 2기 청와대와 경제팀에 대해 ‘원팀’을 당부했다. 이는 지난해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와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 간 엇박자를 낸 것에 대한 우회적 비판이다.
문 대통령은 “정부 경제정책 기조에 대해 토론을 통해 수정·보완해야 하지만 이 과정을 거쳐서 정부의 경제정책이 수립되면 ‘원팀’이 돼서 함게 나아가야 한다”며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가 토론으로 결정됐는데도 그와 다른 개인적인 생각을 주장하는 분이라면 ‘원팀’으로서 활동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