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해양환경공단에 따르면 해양보호구역은 해양수산부 또는 시·도지사가 지정하고, 전문적 관리는 해양환경공단이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 습지보호지역 13개, 해양생태계보호구역 13개, 해양생물보호구역 1개를 포함해 총 27개소가 지정돼 있으며 전체 면적은 1772㎢에 달한다.
특히 올해는 서천, 고창, 신안, 보성벌교, 순천만 갯벌을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기존 해양보호구역(서천갯벌, 고창갯벌, 증도갯벌, 비금도초도갯벌, 보성벌교갯벌)을 통합해 확대 지정했다. 면적도 기존 80㎢에서 1265㎢로 약 15배 이상 늘어났다.
확대 지정된 해양보호구역은 내년에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신청, 현지실사 및 평가를 통해 2020년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의 생태적·사회적·경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환경공단은 ‘관리 기본계획’ 수립과 시민 모니터링 사업, 교육·홍보 및 지역주민 지원, 이용·편의시설 설치 등의 관리사업을 시행하고 ‘해양보호구역센터’를 통해 지역 역량 강화 교육, 인식 증진 및 홍보, 관리사업 평가 등 총괄 운영기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그간의 해양보호구역 운영상 △지역주민·지자체 등의 관심 부문 △관리계획과 추진사업 간의 연계성 부문 △해양보호구역 지역 간의 관리역량 부문 등 각 부문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의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매년 개최하는 ‘해양보호구역 대회’와 전국 17개 지역 해양보호구역센터 네트워크에서 진행하는 ‘해양보호구역 브랜드 발굴 워크숍’ 등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해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실효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세부적 실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 해양생태계의 보전과 지역경제 발전이라는 큰 그림에서 갯벌 복원사업도 해양환경공단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갯벌은 1980년대 후반 간척·매립의 대상이었으나 최근에는 그 가치를 재조명받으며 갯벌 복원에 대한 지역사회 요구 증가와 갯벌의 관광자원 활용 확대 등 갯벌에 대한 체계적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갯벌 1㎢당 경제적 가치는 연간 63억 원에 달한다. 해양환경공단은 체계적이고 효율적 사업 추진을 위해 △갯벌복원 대상지 선정 △복원사업 시행·성공 여부 평가(사후 모니터링) 등 갯벌복원 전 과정에 대한 기준과 절차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단은 2017년에는 옹진군, 서천군, 보령시 등의 갯벌 자연생태·사회경제 현황 분석, 경제적 타당성 평가 등 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올해는 서천군 유부도, 서산시 고파도의 성공적 복원공사를 위한 갯벌 생태계 모니터링 및 실시설계 등을 수행했다.
해양보호구역 지정·관리 확대 및 갯벌 복원사업 등이 시행돼 해양생태계의 보전, 수산자원 확대, 생태관광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우리 지역사회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실질적 해양보호구역 관리 및 갯벌 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 및 수산자원 생산량 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