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내놨다. 경기선행지수(CLI) 흐름만 보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직후와 비슷한 수준이다.
28일 OECD에 따르면, 올해 8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99.2로 전월에 비해 0.1포인트(P) 하락했다.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통상 100을 경기 확장의 기준선으로 삼는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가 100을 밑돈 것은 올해 4월부터 5개월째다.
흐름도 부정적이다. 지난해 3월 101.0으로 정점을 찍고 8월까지 17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 기간 중 하락 폭은 1.8P에 달한다. 이는 IMF 사태 직후였던 1999년 9월부터 2001년 4월까지 20개월 연속 하락한 이후 가장 긴 내림세다.
통계청도 이달 초 8월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각각 98.9, 99.4로 전월보다 0.2P, 0.4P 하락했다고 밝혔다. 동행지수는 5개월, 선행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세다. OECD와 통계청의 선행지수는 구성지표가 달라 수치를 직접 비교하긴 어렵지만, 흐름은 비슷하다.
다른 지표들도 대부분 부정적이다. 경기국면 하강 전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0.6% 증가했다. 1분기 1.0%에서 2분기 0.6%로 내린 데 이어 3분기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호조에도 소비·투자 등 내수 부진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국내외 기관들도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하향 조정하고 있다. 한은은 2.9%에서 2.7%로, 국제통화기금(IMF)은 3.0%에서 2.8%로, OECD도 3.0%에서 2.7%로 전망치를 낮췄다.
2.9% 성장률 전망을 유지하고 있는 정부도 목표 달성에 비관적이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국정감사에서 “2.9%의 당초 전망을 지금 달성하기가 쉬운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