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3%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OECD는 20일(한국시간)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각각 2.7%, 2.8%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5월 전망보다 0.3%P, 0.2%P 하락한 수치다. 우리 정부의 올해 수정 전망치인 2.9%보다도 0.2%P 낮은 수준이다.
OECD는 매년 2회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는데, 9월 전망에선 글로벌 통상갈등과 신흥국 금융불안 등 하방 리스크 확대를 감안해 주요국들의 성장률 전망치를 전반적으로 5월보다 낮춰 잡았다.
그 중에서도 한국은 성장률 전망치 조정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뤄졌다. 올해 성장률의 경우 터키(-1.9%P), 아르헨티나(-3.9%P), 브라질(-0.8%P), 남아프리카공화국(-1.0%P)을 제외하면 가장 큰 조정 폭이다. 이번 조정으로 성장률 전망치가 제시된 19개국 중 한국의 성장률 순위는 5월 5위에서 7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
OECD는 다만 “대규모 재정 확대로 가계소득 및 지출 증대가 기대된다”면서 내년 성장률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봤다.
한편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3.7%, 내년 3.7%로 당초보다 각각 0.1%P, 0.2%P 하향 조정됐다. OECD는 “선진국은 확장적 재정정책과 고용 호조가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이나, 무역분쟁 심화와 불확실성 등은 리스크 요인”이라며 “신흥국은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는 가운데, 구조개혁이 지연되면서 성장세가 약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유로존의 올해 전망치가 각각 0.1%P, 0.2%P 낮춰졌다. 일본과 중국은 기존 전망치인 1.2%, 6.4%를 유지했다.
OECD는 “경기부양 노력과 함께 정책 불확실성 축소, 생산성 증대, 포용적 성장, 금융 리스크 완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통화정책에 있어선 점진적 정상화와 경로 다양화를, 재정정책에 있어선 중장기 도전요인 대응에 집중적인 투자를 각각 조언했다.
이어 “신흥국은 정책 신뢰 회복 및 금융 안정성 제고와 함께 장기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부채 관리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삶의 질 향상 및 균등한 기회 제공을 위한 개혁 추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