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국내 유입으로 정부의 감염병 대응 체계가 또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최대 잠복기인 다음 주말까지가 고비다.
10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확진자(61·남)의 밀접접촉자는 21명, 일상접촉자는 440명이다. 당초 질본은 밀접접촉사 수를 22명으로 파악했으나, 비행기 탑승객 중 1명이 신청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에 탑승했던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21명으로 정정했다. 지역별 밀접접촉자 수는 서울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밀접접촉자 중에는 1명이 의심환자로 분류돼 격리 진료 중이다. 여기에 일상접촉자 중 영국 국적의 20대 여성도 전날 의심환자로 분류됐다. 질본은 “해당 여성은 이번 메르스 확진자의 일상접촉자로, 발열·기침 등 증상이 발생해 메르스 의심환자로 분류됐으며, 현재 국립중앙일원에 격리돼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두 의심환자 모두 1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현재까진 2015년 사태처럼 의료기관 내 감염 가능성은 낮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확진자가 처음 내원한) 삼성서울병원 내 음압진료실이 방 단위로 돼 있어서 다른 환자에게는 노출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격리·관리 전 불특정 다수와 접촉한 밀접접촉자 중에서 추가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메르스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 항공기 탑승자의 경우 확진자 주변에 앉았던 10명이 밀접접촉자로 분류됐다. 이들에 대해선 확진자가 입국한 7일 오후부터 메르스 양성으로 확정 판정된 8일 오후까지 만 하루 정도의 관리 공백이 있었다.
정부는 메르스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9일에는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관계장관회를 개최하고 일상접촉자에 대한 관리를 수동감시에서 능동감시로 전환하기로 했다. 통상 일상접촉자에 대해서는 관할 보건소에서 유·무선 연락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지만, 앞으로는 1대 1로 담당 공무원이 지정돼 상태를 감시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회의에서 “우리는 2015년의 경험에서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약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미리미리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확진자가 발생한 8일 질병관리본부는 본부 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했다. 또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하고, 시도별로 지역 방역대책반을 가동할 것을 지시했다.
메르스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확산을 방지하는 게 최선이다. 2015년 사태 이후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연구개발(R&D)에 뛰어들었으나 아직까진 뚜렷한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현재 국내 업체들이 개발 중인 백신은 임상시험 초기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