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고용지표가 최악의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야권의 비판이 쏟아졌다. 6·13 지방선거 참패로 허우적대던 야권이 원 구성 협상 등을 통해 전열 정비를 마치자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는 흐름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방선거 기간부터 정부의 ‘경제실패론’을 선거 캠페인으로 내세웠던 자유한국당은 연일 공세의 수위를 더욱 높이고 있다.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 “6월 임시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 명 줄고, 일용직 근로자도 11만7000명 감소했다”면서 “문 정부의 반시장, 반기업 정책으로 인해 우리 경제의 고용 창출력이 고갈됐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경제 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바른미래당도 ‘고용 쇼크’ 사태에 대한 정부의 경제 정책 전환을 주문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전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한민국 경제는 어설픈 정책의 실험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제라도 소득 주도 경제 정책의 방향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취업 부진의 원인이 인구구조 탓이라는 정부 당국자의 인식에 대해 “어이가 없다. 국민을 우롱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민주평화당에서도 “정부 경제 정책 방향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장정숙 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권 출범 2년 차에 접어들어 성과가 드러나기 시작해야 할 시점이지만 ‘일자리 정부’라는 표어가 무색해지고 있다”면서 “게다가 소비 등 내수경기까지 장기침체 조짐을 보여 우리 경제 전반에 경고를 넘어 위험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성장 잠재력을 잃어버린 탓”이라며 고용지표 부진의 원인을 이전 정권으로 돌렸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성장 잠재력을 되찾아 제조업 히든 챔피언이 양산될 수 있도록 산업 구조조정을 성공시켜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가 기치로 내건 소득주도성장이 혁신성장전략과 한 몸처럼 움직일 때 고용지표도 호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