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금융 전문가들이 디지털화폐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화폐·예금·국제준비자산을 종국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2018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주요 20개국(G20) 정부 관계자와 국제기구 담당자, 국내외 석학 등 20여 명의 연사를 비롯해 220여 명이 참석했다.
컨퍼런스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20의 성과와 과제, 자본흐름과 금융안전망, 디지털 경제 시대의 자본흐름 변화 등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
3세션 ‘디지털 경제 시대의 자본흐름 변화’에서 로드니 가랏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교수는 암호화자산이 시중은행의 자본흐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고,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도입이 위험성을 능가하는 실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예시로 무이자 디지털화폐는 현금 및 예금을 대체 가능하고, 비거주 외국인이 사용 가능한 디지털화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화폐·예금·국제준비자산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파비안 쉐르 바젤대학교 금융혁신센터 사무총장은 “자금세탁, 조세회피 방지 등을 위한 정치적 이유, 암호화자산·핀테크 등 기술적 요인으로 궁극적으로 현금 사용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암호화자산은 익명성과 거래정보에 대한 무제한적인 접근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직접 이를 발행하는 평판 위험(reputational risk)을 부담하기보다는 전자 화폐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이나 야스시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금융안정위원도 암호화자산의 시장규모가 글로벌 GDP 대비 1% 미만에 불과한 점을 감안할 때, 현재 금융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암호화자산 및 기반기술이 기존의 시스템으로 접목될 경우 시장 변동성 확대, 해킹으로 인한 지급결제시스템 마비, 기존 시스템 기술 결함 등이 우려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황건일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은 개회사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국제공조시스템이 강화됐으나, 초지능화와 초연결성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변혁이 국제금융에 많은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디지털 경제시대 도래에 따른 암호화자산 이슈에 대해서는 위험요인과 기회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암호화자산과 기반기술에 대한 균형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