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가 급속도로 해빙모드로 돌아서고 북미대화까지 시작 될 조짐을 보이자 최고 주요 건설사 주가가 오르는 등 건설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6일 건설업계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번 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교류가 확대되면 건설업계에는 연간 80조원(지난해 기준 국내수주 50%) 수준의 시장 확대 효과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 관계가 진전 된다면 남·북한 철도 연결, 도로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뿐만 아니라 주택 건설 등 건설업계의 역할이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교보증권에 따르면 경제 협력을 참작한 북한 경제특구 개발, 에너지 교통 등 인프라 투자는 연평균 27조원, 10년간 270조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30년까지 북한 주택도 평균 450만가구가 신규공급 될 필요가 있어 연평균 60조원의 신규 주택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남북협력과 해외수주 확대 여부에 따라 연간 300조원 신규 수주 시대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며 “남북 정상회담과 경제협력 기대감에 건설업종 지수 상승이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도 호전되는 분위기에 편승에 행보를 서두르고 있다. 실제로 대한건설협회는 업계 및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분야 통일위원회’를 구성하고 오는 4월 첫 회의를 연다.
이 위원회는 대북 사업 실적이 있는 15개 건설사를 비롯해 대북 인프라 조성에 관여해 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도로공사 등 공기업이 참여한다.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등 국책 연구기관을 포함한 전문가들도 동참할 예정이다.
이 위원회는 앞으로 북한의 인프라·경제 현황을 공유하고 건설업계가 수행가능한 프로젝트를 조사·발굴해 정부에 건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기업들 역시 분주하다. 코레일은 지난 5일 조직개편을 통해 ‘남북해외철도사업단’을 신설했고 현대아산과 함께 개성공단 사업의 공동 시행자인 LH도 최근 남북협력처 인원을 늘렸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업종은 부동산 정책 리스크로 방향성이 불분명해지고 할인율이 컸던 만큼 이번 정치리스크 완화는 투자심리 개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아직 정상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도 나오지 않은 만큼 장밋빛 전망은 이르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이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 건설업종의 전망을 언급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아직은 넘어야 할 단계가 많은 만큼 조금더 신중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