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마르스 림세빅스 라트비아 중앙은행 총재가 부패혐의로 전날 체포됐다. 림세빅스 총재는 뇌물 및 돈세탁 혐의에 대한 조사 끝에 구금됐다.
라트비아 국영 방송은 반부패 당국이 림세빅스 총재의 자택과 중앙은행 사무실을 수색했다고 전했다. 반부패 당국 관계자는 “림세빅스 총재를 뇌물 수수 혐의로 조사했으며 그가 10만 유로(약 1억3000만 원)의 뇌물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림세빅스 총재는 자신에 대한 비난은 거짓이라 주장했다. 그는 19일 저녁 보석으로 석방됐다.
마리스 쿠친스키 라트비아 총리는 림세빅스 총재의 체포에도 “이 나라에는 재정적인 위협이 없다”고 유동성 위기 우려를 일축했다. 그러나 라트비아 내각은 쿠친스키 총리, 다나 레이즈니스-오졸라 재무장관과 함께 비상회의를 열고 대책에 나섰다. 레이즈니스-오졸라 장관은 “중앙은행 총재는 각국 금융 부문의 상징이며 총재에게 가장 현명한 결정은 적어도 조사 기간에는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나는 그가 스스로 사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ECB는 회원국인 라트비아 중앙은행 총재의 부패 스캔들을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즉각 라트비아에 대한 자금 대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은행이 돈세탁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금융당국의 역할인데, 은행 최고 감시자인 중앙은행 총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ECB는 ABLV에 대한 모든 지급을 중단하도록 명령했다고 밝혔다. 카렐 라누 싱크탱크 CEPS의 최고경영자(CEO)는 “ECB도 이미 이를 알고 있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들은 가능한 한 숨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지적했다.
ABLV는 앞서 북한과 관련된 돈세탁 혐의로 미국 재무부의 제재를 받았다. 13일 미 재무부는 미국 금융시스템에 대한 ABLV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했다. 미 정부는 ABLV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관련 기업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대상과 거래했으며 돈세탁이 제도적으로 이뤄졌다고 비판했다. ABLV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라트비아 반부패 당국은 림세빅스 총재에 대한 조사는 ABLV와 관련이 없다고 덧붙였다.
FT는 이러한 제재 조치는 라트비아와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금융 부문에 피해를 준다고 전했다. 미국의 제재에 이어 ECB의 지급정지가 이뤄지자 라트비아 중앙은행은 유동성 위기를 막기 위해 ABLV에 담보물을 대가로 9750만 유로를 융자하기로 합의했다. ECB는 ABLV의 문제가 국가나 지역 금융 시스템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라트비아는 2014년 유로존에 가입했다. 부패 스캔들을 일으킨 림세빅스 총재는 2001년부터 라트비아 은행의 총재를 맡아왔으며 유로존 국가에서 가장 오랜 기간 재임해온 중앙은행 총재이기도 하다. 그는 유로존의 통화정책을 설정하는 ECB 집행위원회의 일원으로 일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