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유목 부족의 흉포한 왕, 무르티 빙은 동유럽을 침공하면서 항복하지 않으면 그 나라 백성을 몰살했고, 항복하면 살려는 주되 노예로 만들었다. 그의 다음 목표가 자기 나라임을 알게 된 작은 나라의 왕은 깊은 괴로움에 빠진다. ‘항거해서 목숨을 잃을 것이냐’, ‘항복해서 노예로 살 것이냐’라는 선택 때문이다. 무르티 빙은 이 왕에게 알약을 보낸다. “이 약을 먹으면 부끄러움이 사라진다”는 말과 함께. 약간의 고민 끝에 신하들과 알약을 나눠 먹은 왕은 다음 날 성문을 활짝 열고 무르티 빙과 그 군대를 맞는다. 왕은 아무 부끄러움 없이 무르티 빙에게 복종했다. 새 지배자를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떠받드는 사람들의 우두머리가 됐다.
폴란드 작가 스타니스와프 비트키에비치(1885~1939)가 1930년에 낸 소설 ‘탐욕(영역판 제목은 Insatiability - 우리나라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 알약은 역시 폴란드 출신으로 1980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체스워프 미워시(1911~2004)에 의해 세상에 다시 나타났다. 그는 1953년에 쓴 ‘사로잡힌 마음(Captive Minds - 이 책도 번역되지 않았다)’이라는 논픽션에서 “많은 유럽 지식인이 무르티 빙의 알약을 먹었다”며 소련 공산주의에 경도된 사람들을 힐난했다. 그렇지 않고서야 스탈린 정권에 협력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지식인의 복종감정’의 은유인 이 알약은 날카로운 지성으로 유럽과 미국에서 이름이 높았으나, 루게릭병으로 아깝게 세상을 떠난 영국 역사학자 토니 주트(1948~2010)가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이라크 침공에 대해 입을 다물었거나 딴말을 쏟아냈던 지식인들을 비난하면서 미워시의 책에서 다시 끄집어내고, 자서전 ‘기억의 집’에서 언급한 이후 구글과 위키피디아의 검색 항목에 자리를 제법 길게 차지하게 됐다.
얼마 전 주트의 책을 읽고 이 알약의 존재를 알게 된 나는 즉각 한 방송사 사람들이 이 알약을 먹었을 것이라는 의심을 품게 됐다. 이 방송사는 여권의 유력 정치인과 그 가족을 예능 프로그램에 몇 주 동안 출연시키며(억지로?) 인기를 몰아줬는데, 무르티 빙의 알약을 먹지 않고서는 절대 생각해 내지 못했을 일로 생각된다. 뭔가 약점이 잡힌 방송사 측이 몰살에 버금가는 협박을 받았을 거라는 의심이다. 야권 정치인도 비슷한 비중으로 같은 프로그램에서 다뤘다면 이런 의심은 생겨나기 어려웠을 거다.
이 방송은 또 최근에는 행적과 말투가 지극히 편파적이며 저질스러운 표현으로 비판을 부르기도 하는 ‘정치평론가’에게 시사 프로그램을 맡기기도 했는데, 이 역시 무르티 빙의 알약을 먹어야만 가능한 일일 걸로 보인다.
내가 눈이 날카롭지 못해서 그렇지, 이 방송사 사람들 말고도 이 알약을 먹은 사람은 이미 여럿일 거다. 어쩌면 먹고 싶어 안달이 난 사람들도 많을 거다. 앞으로 출세를 위해서라면 어떤 부끄러운 짓이라도 하겠다고 마음먹은 사람, 지난 정권에서 부끄러운 짓을 해 벌써 잡혀갔거나 잡혀가기 직전인 사람들도 먹고 싶어 할 것 같다.
이 약을 남에게 먹이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많을 거다. ‘개혁’하고 싶은 사람, ‘혁명’을 완수하고 싶은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일 거다. 이런 모든 게 보기 싫어서 이 약을 찾아 나서 볼까 하는 사람들도 꽤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