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발전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ㆍ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시범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년부터 2년간 시험운영을 거친 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크게 늘어나는 2020년 이후에는 통합관제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 워킹그룹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회의를 하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예비율 워킹그룹은 지난 13일 신재생의 간헐성을 고려해 초안에서 발표했던 2031년 적정 예비율(20~22%)을 기존 7차 수급계획과 같은 22%로 산정한 바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의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백업설비가 필요하다고 워킹그룹은 설명했다.
백업설비로는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양수,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 양수발전기 같은 유연성 설비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이런 설비 보유를 의무화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워킹그룹은 변동성이 있는 신재생 발전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계측하며 출력이 급변할 경우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실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신재생 발전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간헐성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활용 중이다.
사업자는 발전단지별 기상예보를 토대로 발전량을 예측해 제출하고, 전국ㆍ지역 단위 관제시스템에서 이러한 정보들을 종합해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