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을 선언한 대만에서 지난 15일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발생해 전체 가구 3분의 2에 전력 공급이 끊긴 것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탈원전 정책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고 밝혔다.
17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정전 사태는 가스 공급 차단에 따라 대만 총 발전설비의 10%를 담당하는 타탄가스발전단지(420만kW)가 일시에 정지되면서 자동정전시스템이 작동했고, 지역별 순환 단전이 시행됐다.
가스 공급 차단의 경우 대만 정부의 공식적 원인 발표가 없는 가운데, 가스 사업을 담당하는 석유공사 작업자가 가스 공급 장치를 교체하는 중에 발생한 것으로 외신은 보도했다.
리스광 경제부장(장관)은 “정치적 책임이 있다면 결코 피하지 않겠다”며 구두로 사의를 표명했다. 차이잉원 총통도 정전 당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전력공급은 민생 문제이자 국가안보의 문제”라며 사과문을 올렸다.
대만은 작년 5월 차이잉원 총통(대통령) 취임 이후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탈원전 정책을 시행했다. 원전 6기 중 3기의 가동을 멈췄고, 공정률이 98%인 원전 2기의 공사도 중단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이번 사태를 대만의 탈원전 정책 탓으로 결론짓고 사정이 다른 우리나라와 직접 비교해 향후 동일한 사태가 날 것으로 예견하는 것은 무리라고 밝혔다.
국내 가스공급 체계의 경우 다중의 경보ㆍ감시ㆍ운영 체계를 통해 가스밸브 조작 오류시에도 압력저하 경보가 자동 발령되고, 지역과 중앙통제소에서 원격 조작이 가능해 가스공급 정전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대만의 전력공급 규모(42GW)는 우리(113kW)의 37% 수준으로 이번 가스 발전 중지가 대만 전력공급의 10%를 차지했다. 그러나 우리는 단일 가스배관 차단으로 정지될 수 있는 발전기가 최대 228만kW로 공급 규모의 2%에 불과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8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2030년 전력 수요와 공급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하면서 안정적 전력 수급을 전제로 탈원전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우리 전력계통망은 환상망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의 발전소 정지 등 공급 문제 발생시에도 타 지역에서의 발전을 통해 우회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향후 신재생발전 등 분산형 전원을 더욱 확대해 나감으로써 일부 지역 밀집에 따른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