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세대 10명 중 2명이 일자리가 없고 절반이 넘는 청년들이 월세를 살며 주거비 부담에 비명을 지르고 있다. 여기에 20~30대 빚 부담마저 크게 늘면서 암울한 청년세대를 단면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일자리와 주거, 부채를 종합한 청년 종합정책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은행이 제출한 '연령대별·종사상 지위별 소득 대비 가계대출비율(LTI)’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년층의 LTI 증가율이 36.2%로 가장 높았다.
한은의 가계대출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약 100만 명의 평균 LTI는 2014년 3월 말 166.8%에서 올해 3월 말 205.5%로 상승했다.
30대 이하의 LTI는 136.0%에서 185.2%로, 40대는 162.7%에서 202.3%로, 50대는 179.9%에서 207.1%로, 60대 이상은 225.9%에서 250.7%로 각각 올랐다.
나이가 들수록 주택 구매, 사업, 자녀 교육 등으로 씀씀이가 커지고 자금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득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으니 대출을 더 받는 것이다. LTI 수준만 따지면 고령층이 높지만, 상승 추이를 보면 청년층이 가장 가팔랐다.
최근 3년간 LTI 증가율이 30대 이하는 36.2%다. 소득이 제자리에 머무르는 사이 대출이 연평균 12%, 한 달에 1%꼴로 늘어난 셈이다. 40대는 24.3%, 50대는 15.1%, 60대 이상은 11.0%씩 LTI가 상승했다.
LTI가 상승한 것은 그만큼 소득 대비 대출의 규모가 늘었다는 의미다.
청년세대의 빚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실업률과도 밀접하다. 올해 4월 기준 청년실업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올해 4월 우리나라의 청년층 실업률은 11.2%로 지난해 12월 8.7%에 비해 2.5%포인트 상승했다.
OECD 회원국 중에 전 분기 대비 청년층 실업률이 한국과 같이 상승한 국가는 오스트리아(10.2→10.5%), 이스라엘(6.8→7.1%), 독일(6.6→6.8%), 일본(4.8→5.0%)뿐이다. 5월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2.9%였다. 10명 중 2명이 사실상 실업자인 셈이다.
주거 안정도 불안하다. 이태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최근 보건복지포럼에 게재한 '청년층의 주거 실태는 어떠한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청년가구 전체에서 보증부 월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9.5%에 달했다. 청년 1인 가구로 한정하면 보증부 월세 비율은 58.3%로 더 높았다.
지난 21일 국회 민생경제특별위원회가 개최한 '청년 일자리·부채·주거 등 대책에 관한 공청회'에서 김상희 민생경제특별위원장은 "청년에게 투자하는 것이 미래 동력을 확보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청년 종합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