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들어 초대 경제부처 수장에 오른 장관들이 취임식에서 직원들을 향해 잇따라 경고장을 날리고 있다. 주로 탁상공론과 전관예우 등 매번 지적된 업무 자세와 관련한 내용이다. 이 중에는 전관예우 차단을 목적으로 대통령령인 공무원 행동강령을 고쳐 강제하려는 움직임까지 감지되고 있다.
16일 경제부처에 따르면 새롭게 임명된 각 경제부처 장관들이 취임식에서 그동안 공무원들의 업무 태도를 지적하며 작심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초대 경제팀장을 맡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기재부 직원들에게 역대 부총리 취임사에서 보기 힘든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김 부총리가 직접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 취임사에서는 지금까지 업무 태도뿐만 아니라 일하는 방식까지 바꿔 줄 것을 당부했다.
김 부총리는 “경제 패러다임을 새롭게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고 금방 고칠 수도, 뚝딱 바꿀 수도 없다”며 “우리가 가진 역량을 다 쏟아 붓고 일관되게, 인내를 갖고 성과가 나올 때까지 추진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또한“정경유착이나 부적절한 관행은 끊고 도움이 필요한 곳은 적극적으로 돕되, 직접 지원이 아니라 시장이 창출되는 방향으로 유인해야 한다”며 “필요할 때는 양보와 희생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욱이 김 부총리는 “이제 책상 위 정책은 만들지 말고 현장에서 작동하는 정책을 만들어 국민이 이해하고 감동하는 정책을 만들라”며 “진정한 실천력은 겸손한 마음에서 나온다. 국민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다른 부처와 현장의 이야기도 크게 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일하는 방식 역시 김 부총리는 “기계적인 근면성을 지양해야 한다”며 “보고서는 반으로 줄이고 일의 집중도를 높이면서 주말이 있는 삶을 살도록 하자”고 했다.
앞서 치러진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식에서도 직원들에게 “경고의 말씀을 드린다”며 직설화법을 구사했다.
김 위원장은 “공정위 업무 추진의 원동력은 국민의 신뢰에서 나온다. 우리의 자그마한 흠결 하나만으로도 사건 처리의 공정성을 의심받고 조직 전체의 신뢰를 잃게 만든다”며 “그만큼 국민들이 공정위에 요구하는 도덕적 잣대가 엄격해졌음을 의미한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업무시간 이외에는 공정위 OB(퇴직자)들이나 로펌의 변호사 등 이해관계자들과 접촉하는 일은 최대한 자제해 달라”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반드시 기록을 남겨달라”고 강조했다. 이는 공정위 퇴직관료의 전관예우 논란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공직사회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여당이 대통령령인 공무원 행동강령을 고쳐 현직 공직자가 퇴직 관료와 접촉할 경우 의무적으로 서면 보고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서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령인 공무원 행동강령에 퇴직관료를 만날 때 보고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을지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