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자력발전소 해체 분야 핵심기술 개발에 적극 나선다. 원전 해체 기술은 건설보다 더 고도화된 정밀기술을 요구한다. 이 때문에 향후 '블루오션'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3일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센터는 원전 해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오류 등을 분석하고, 방사성 폐기물인 세슘 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원전 해체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인 안전성을 높일 기술을 찾는 것이다.
나아가 원전 해체 후 부지 환경의 안전을 높이기 위해 토양이나 지하수의 방사선 준위를 조사하고 감시하는 기술도 연구한다. 울산과기원은 국내 전문성 있는 대학·연구기관과 연대하고 해체 산업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 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연구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사업'에 선정돼 설립됐다. 연구를 위해 미래부가 최대 5년간 31억5000만 원을, 울산시와 울주군이 총 10억 원을 지원한다.
이처럼 정부가 원전해체 기술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당장 우리나라 노후 원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해체를 기다리는 원전이 연달아 나오기 때문이다.
2차 대전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붐을 타고 원자력발전 건설이 붐을 이루기 시작했다. 이들이 내구연한 50년을 채웠거나 임박한 가운데 2020년 이후 원전 해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기준 전 세계 600개가 넘는 원전이 존재하고 있고 이 가운데 150여기가 영구정지된 상태. 이들 가운데 약 15%만 해체작업이 완료된 상태다. 현재 원전해체 기술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세 나라인 것으로 전해진다.
김희령 원전해체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장은 "울산의 산학연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특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