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과 함께 서울 3도심의 하나지만 산업구조 변화로 낙후된 영등포 경인로 일대, 2000년대 이후 쇠퇴하고 있는 용산전자상가 등이 도시재생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가 쇠퇴한 서울도심을 중심으로 진행한 '서울형 도시재생' 1단계 사업에 이어 도심은 물론 동북ㆍ서남권 등에 고르게 분포해 서울 전 지역으로 본격 확장하는 2단계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16일 밝혔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1년간 준비 기간을 거쳐 영등포 경인로, 용산전자상가, 독산동 우시장 등을 포함해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17곳을 선정, 앞으로 5년간 총 2000억 원 내외(지역당 100억~500억, 주거환경관리사업은 20억~30억)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이란 과거 전면 철거 방식의 재개발 대신 주민이 직접 공동체를 꾸리고 환경을 정비하며 마을을 되살리는 사업이다.
시는 2015년 1월 도시재생본부를 출범하고 같은 해 12월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세워 세운상가, 창신·숭인 지역 등 1단계 13곳을 선정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진 본부장은 "1단계 사업지가 쇠퇴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진행됐다면, 2단계 사업지는 도심은 물론 동북·서남권에 고르게 분포돼 도시재생을 서울 전 지역으로 본격 확장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2단계 사업지 17곳은 중심지재생지역 7곳과 주거지재생지역 10곳으로 나뉜다. 중심지재생지역은 ▲경제기반형(최대 500억 원 지원) 1개소 ▲중심지가지형(최대 200억 원 지원) 6개소가 있고 주거지재생지역은 ▲근린재생일반형(최대 100억 원 지원) 7개소 ▲ 주거환경관리사업연계형(20억~30억 원) 3개소 등으로 구분된다.
영등포·경인로 일대는 중심지재생지역 '경제기반형'에 해당되며, 상대적으로 낙후한 서남권의 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경제 거점으로 개발한다.
중구 정동 60만㎡, 성동구 마장동 55만㎡, 용산구 용산전자상가 21만㎡, 금천구 독산우시장 48만㎡, 동대문구 청량리·제기동 일대 49만㎡, 강북구 4·19사거리 일대 63만㎡가 중심시가지형이다..
정동은 중명전, 선원전, 러시아공사관 등 근현대 역사문화자산을 고스란히 간직한 지역으로, 근대 '외교타운'이었던 곳이다. 정동외교문화공원, 역사보행탐방로 등을 꾸며 역사적·장소적 가치를 회복한다.
마장동은 '축산물 유통 1번지' 마장축산물시장이 있는 곳으로, 고질적인 악취와 청결 문제가 지적돼왔다. 시는 이를 해결하는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청계천 등 주변 지역으로 걸어가기 쉽도록 접근로를 개선한다.
용산전자상가는 2000년대 들어 쇠퇴한 상권을 전자산업 기반의 복합문화교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일대 창업지원 인프라를 활용해 청년층을 유입시켜 활력을 찾는다는 복안이다. 인근 숙명여대 및 지방 대학과 협력해 디지털캠퍼스도 구축, 인력 유입과 교류를 꾀한다.
진 본부장은 "이들 지역은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방지 대책도 적극적으로 시행한다"며 "마장축산물시장은 건물주의 50% 이상이 상생협약에 동의했고, 용산전자상가도 상인연합회·시설주·시·구가 협의체를 꾸려 임차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주거지재생지역 10곳 중 근린재생 일반형 7곳은 수유1동, 창3동, 불광2동, 천연·충현동, 난곡·난향동, 안암동, 묵2동이다.
창3동은 주민 스스로 도시재생 설명 자료를 만들어 지역 주민을 상대로 16차례에 걸쳐 교육하는 등 사업 추진 의지가 높았다. 난곡·난향동은 경사지에 노후 주택이 밀집해 도시재생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안암동은 고려대를 중심으로 한 캠퍼스타운 사업과 연계, 지역사회와 대학의 협력이라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한다.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곳은 신영동 구릉지 단독주택 중심 저층 주거지, 수색동 DMC 인근 뉴타운 해제지역, 목2동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역이며 향후 주거환경관리사업 선정을 위한 자문절차를 생략해 원활한 사업추진을 도모할 계획이다.
시는 사업후보지 가운데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지역도 올해 희망지 사업에 재응모할 수 있게 해 도시재상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지속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진 본부장은 "2015년에 이어 두 번에 걸친 도시재생지역 30개 선정으로 '서울형 도시재생'이 쇠퇴한 도심부 위주에서 서울 전역으로 본격 확대되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물리적 재생만이 아닌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인문적 재생을 통해 공동체의 복원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