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로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다른 가치관을 가진 정당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당내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같은 당이더라도 모두가 같은 생각을 공유할 수 없으며 강요될 수도 없기 때문에 당내에는 다양한 계파가 존재한다.
새누리당 역시 주류와 비주류 계파가 존재한다. 이들은 지난 총선에서 다름을 인정하지 못한 채 극단적인 다툼 끝에 제1당 자리를 야당에 넘겨야 했다. 새롭게 출범한 지도부는 계파 간 갈등을 선거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접근 방안으로 꺼내든 계파청산에 의문이 따른다. 계파 간 이기적 다툼을 지양하는 것과 계파 자체를 없애겠다는 것은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계파청산에 매몰되다 자칫 다양한 목소리를 외면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유승민 사태가 나올 수도 있다. 그동안 새누리당은 집권 여당임에도 정부·여당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무시하고 비판해 왔기에 더욱 그렇다.
계파 이기주의를 내세우는 모습도 여전하다. 총선 참패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친박(친박근혜)계는 혁신비대위원회 지도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소신파에 권한을 맡기려 하자 비토 움직임으로 응징했다. 우여곡절 끝에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을 중심으로 새 지도부가 출범했지만 총선 결과로 나타난 민의를 따르겠다는 다짐에는 불신만 남았다.
결국 새 지도부에 주어진 당내 갈등 봉합 과제는 다양성 수용 여부를 확인하는 검증대가 될 예정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탈당한 의원들의 복당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은 계파 간 갈등 청산의 시그널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