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의 사료이용 등 다방면의 소비책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수급균형 및 적정재고 달성을 위한 '중장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 30일 발표했다.
대책안에 따르면 정부 보유한 쌀 재고량 일부를 사료용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펫푸드' 등 사료용 가공제품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정부양곡 가공용 쌀 매입대상자와 쌀 가공산업 육성 지원사업 대상자에 비식품제조업체도 포함된다.
이어 쌀로 만드는 탁주, 약주, 청주 등 소규모 제조면허도 신설해 쌀 소비를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음식점에서 탁주, 약주, 청주 등을 제조하기 위해 1㎘ 규모의 설비를 갖추면 판매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조면허도 신설한다.
이밖에 또한 쌀 과잉공급을 유발하는 변동직불금 등 쌀 직불제도 개선한다.
이를 통해 올해 11월 말 기준으로 165만톤에 이르는 정부양곡재고량을 3년 후인 2018년 10월엔 적정재고량인 80만톤 수준으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쌀 재고 관리비는 가치하락분을 포함해 1만톤당 약 36억원이 소요된다. 현재와 같이 적정재고량의 두 배가 넘는 양을 관리하는데만 연간 6000억원 가량의 예산이 든다.
이밖에 오경태 농식품부 차관보는 "쌀 및 쌀 가공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고품질·기능성 쌀을 생산하는 '쌀 수출 전문단지'를 내년에 7곳을 지정, 육성해 나갈 것"이라면서 "쌀 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 3년간 쌀 제품 연구개발(R&D)에 5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2000톤에 그쳤던 쌀 수출을 2020년께는 2만5000톤으로, 2014년 기준 6100만 달러였던 쌀가공식품 수출액은 같은 기간 1억5000만 달러로, 쌀 가공식품산업 매출액은 4조2000억원에서 7조원 규모로 각각 키운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