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를 1% 올릴 경우 유동성 위험기업(이하 위험기업)수가 400개에 육박할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부문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향후 1년 동안 금리가 100bp(1%), 150bp(1.5%) 상승할 경우 위험기업은 382개(전체 비중 18.8%), 431개(21.2%)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외부감사 대상 기업 중 상반기 재무제표가 입수 가능한 비금융법인(공기업 제외) 2032개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금리가 1% 인상 여파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포인트 둔화됐을 경우와 유사했다. GDP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위험기업은 약 371개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둔화폭이 1.5%포인트로 확대될 경우 위험기업은 약 394개로 늘었다.
금리가 1.5% 오르고, GDP 성장률이 1.5%포인트 하락하는 상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위험기업수는 약 490개로 확대됐다.
GDP 상승률 둔화, 기준금리 인상 복합 충격이 발생할 경우 운수,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순으로 위험기업수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향후 급격한 경기 둔화, 금리상승 등 추가적인 충격이 발생하면 기업들의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현상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비금융 법인기업 2만7995개 업체를 대상으로 만성적 한계기업을 조사한 결과 2561개(10.6%)로 집계됐다. 2009년 1851개와 비교할 때 710개 늘어난 수치다. 한은은 만성적 한계기업을 2005년 이후에 2회 이상 한계기업을 경험한 기업으로 정의했다.
만성적 한계기업이 보유한 자산 및 부채 비중은 2014년 말 현재 전체 외부감사 대상 기업 대비 각각 7.8%(239조원), 14.1%(차입금 및 상거래신용, 228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