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의 초기 대응 실패로 메르스 격리자가 3500명을 넘어서면서 메르스 공포가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면서 한국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메르스 공포로 약 2500곳의 초·중·고교, 유치원이 휴업했고 병원을 비롯한 극장, 백화점, 놀이공원 등 사람이 몰리는 곳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메르스 괴담과 소문이 카톡이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면서 과잉 대응으로 경기침체의 늪에 빠지고 있는 것이 문제다.
전문가들은 현재 국민의 공포감은 심리적 문제가 크며 사실상 일상으로 돌아가도 큰 문제가 없다고 지적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와 마찬가지로 간신히 살아나려는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세월호 참사로 인한 추도 분위기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민간 경제가 1조8000억원가량 감소해 경제성장률이 약 0.2%포인트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메르스 사태가 세월호 때보다 더 큰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모건스탠리는 메르스 확산이 3개월 지속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8%포인트가량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과거 사스가 유행하던 시기의 중국과 홍콩의 경제성장률이 각각 2.9%포인트, 4.5%포인트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메르스 사태로 4% 수준의 성장률 둔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과잉 불안의 심리적 문제로 경기가 침체하고 있어 경제주체인 국민이 다시 평상으로 돌아가면 얼마든지 경기를 살릴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무엇보다 정부가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면 과잉 공포로 말미암은 경제의 과잉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