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준호의 세계는 왜?] 메르스 공포에 빠진 한국…너무나도 다른 미국ㆍ중국의 대응

입력 2015-06-02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인 메르스 환자가 격리 수용된 중국 광둥성 후이저우인민병원에서 1일(현지시간) 의료진이 마스크를 쓴 채 서 있다. 후이저우/신화뉴시스

한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연일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와 3차 감염자도 발생했습니다. 메르스 사태가 터진 이후 정부의 무능력하고 무책임한 대응에도 비난이 빗발치고 있습니다.

사실 전염병이 한 번 발생하면 아무리 준비를 잘한다 하더라도 통제가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이 같은 위기에 처했을 때 취한 발빠른 대응은 우리나라 정부와는 너무나도 달랐다는 생각이 드네요.

미국에서도 지난해 4월 메르스 환자가 처음으로 보고됐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의사로 근무하던 사람이 메르스에 걸린 채 귀국한 것이지요. 며칠 뒤 플로리다에서 또 다른 환자가 발견됐습니다.

그러나 미국 보건당국은 신속하게 환자를 격리하고 여행 경로를 파악하고 접촉한 의료진도 철저히 모니터링해 메르스 확산을 차단했습니다. 그리고 두 환자 모두 완치돼 퇴원했습니다.

에볼라 환재가 발생했을 때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외부 일정을 취소한 채 백악관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여는 등 사태 해결에 온 힘을 기울였습니다.

한국의 허술한 대책으로 메르스 날벼락을 맞게 된 중국과 홍콩당국도 환자와 감염 의심자에 대한 격리 조치를 실시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로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미국이나 중국이 호들갑을 떠는 것처럼 보여도 이는 더 많은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것입니다.

한편 메르스 관련 정보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비공개로 하는 것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정부는 정보를 상세히 공개하면 주민의 공포와 혼란이 더 커질 수 있다며 비공개 원칙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지난해 메르스가 발병했을 때 환자 여행 경로나 현재 치료받고 있는 병원 등을 상세하게 공개했습니다. 중국도 조류인플루엔자 등이 발생하면 보건당국이 매일 환자 현황과 당국의 조치 등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게 더 나은 방법일까요. 우리나라는 기껏 한다는 것이 메르스 괴담 유포자를 엄중 처벌한다는 엄포 밖에 없습니다.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이 안다면 각종 괴담이 오히려 사그러들지 않을까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900,000
    • +4.02%
    • 이더리움
    • 4,436,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09,000
    • +1%
    • 리플
    • 814
    • -3.67%
    • 솔라나
    • 303,700
    • +6.64%
    • 에이다
    • 844
    • -1.75%
    • 이오스
    • 780
    • -2.99%
    • 트론
    • 231
    • +0.43%
    • 스텔라루멘
    • 153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950
    • -2.41%
    • 체인링크
    • 19,620
    • -3.21%
    • 샌드박스
    • 408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