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전·월세 가구 가운데 월세 가구의 비중이 55.0%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가보유율은 고소득층에서 증가한 반면 중소득층과 저소득층에서는 감소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7∼9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만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한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월세 비중은 조사를 시작한 2006년 45.8%에서 2008년 45.0%로 소폭 하락했다가 2010년 49.7%, 2012년 50.5%로 상승해 지난해 55.0%로 최고점을 찍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의 월세가구 비중도 2006년 37.9%에서 37.3%로 소폭 하락했다가 2010년 42.9%로 크게 오른 뒤 2012년 44.1%, 지난해 45.0%로 커졌다.
집을 소유한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보유율은 58.0%, 자기 집에 사는 비율인 자가점유율은 53.6%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2년 전과 비교해 소득 9∼10분위인 고소득층의 자가보유율이 72.8%에서 77.7%로 높아졌다. 반면, 중소득층(소득 5∼8분위)은 56.8%에서 56.4%, 저소득층(소득 1∼4분위)은 52.9%에서 50.0%로 낮아졌다.
조사 대상 가운데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79.1%로 2010년보다 4.6%포인트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34세 이하 응답자(70.9%)의 내 집 마련 의지가 가장 낮았다.
1인당 최저 주거면적과 화장실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해 국토부가 설정한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은 5.4%로 나타났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2006년∼지난해까지 16.6%→12.7%→10.6%→7.2%→5.4%로 조사 때마다 낮아지고 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3.1㎡로 2년 전보다 1.4㎡ 증가했고, 현재 살고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86점(4점 만점)으로 지난 조사 때보다 0.03점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거주기간은 자가가구가 11.2년, 임차가구가 3.7년으로 2년 전과 비교해 각각 1.3년, 0.2년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