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공유제도 시행 2년 만에 도입 기업 수가 170개를 넘어서고, 과제 1건당 평균 7억5000만원의 수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9일 밀레니엄 서울힐튼 호텔에서 올해 제2차 '성과공유제 확산협의회'를 개최하고 2012년부터 추진 중인 '성과공유확인제의 시행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성과공유확인제는 대기업‧중견기업이 협력사와 공동 협력활동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사전 계약대로 분배하는 제도다. 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해 정부가 2012년 4월 도입한 바 있다.
대ㆍ중소기업협력재단에 따르면 현재 성과공유확인제를 도입한 기업은 170개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관련 프로젝트도 올해 말 5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성과공요제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부분도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처음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2012년 4월 이전 과제 유형은 원가개선을 목적으로 한 과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최근엔 연구개발 목적 과제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재무적인 부분에서도 과제 1건당 평균 7억5100만원의 수익성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고, 1개 과제당 평균 공유실적에서도 물량·매출확대 20억100만원, 시제품 구매보상 8000만원, 현금보상 6600만원, 납품단가 반영 4400만원 등의 성과를 올렸다. 이 같은 질적 성장에 대다수(92.5%) 위탁기업과 수탁기업에서 향후 성과공유제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의지를 밝혔다.
동반성장위원회 김종국 사무총장은 “성과공유제는 대기업이 일방적으로 중소기업을 돕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주는 것"이라며 "내년에는 2‧3차 협력사까지 확대를 위한 다자간 성과공유제 확산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