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 잇따라 중국 경제성장률 하향…“5% 어렵다”

입력 2024-08-29 16: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UBS, JP모건, 노무라 등 하향
애널리스트 74명 중 51명이 "5% 하회" 전망
부동산 침체가 가장 큰 이유
몸 사리는 중국 정부도 지적 대상

▲중국 상하이에서 1일 시민들이 길을 걷고 있다. 상하이(중국)/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에서 1일 시민들이 길을 걷고 있다. 상하이(중국)/로이터연합뉴스
연초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로 지난해와 같은 ‘5% 안팎’을 제시했다. 실제 1분기 5.3%를 기록해 기대에 부응하는가 싶었지만, 2분기 4.7%로 떨어지며 우려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잇따라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하고 나섰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UBS그룹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종전 4.9%에서 4.6%로 하향했다. 내년 전망치도 4.6%에서 4%로 낮췄다.

UBS는 중국 정부가 2022년 말부터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 인하와 매매 제한 완화 등 여러 조치를 펼쳤지만, 실행이 더뎠고 영향도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왕타오 UBS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부동산 약세가 가계 소비를 포함한 전체 경제에 예상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계 소득 증가가 약해지면서 시장 신뢰가 낮다”며 “부동산 재고 수준은 높은데 재고 정리 실행은 느렸다”고 지적했다.

앞서 JP모건체이스와 노무라도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이 5%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두 은행 각각 4.6%, 4.5%로 하향했다.

또 블룸버그가 집계한 74명의 애널리스트 가운데 51명이 올해 성장률이 5%를 밑돌 것으로 예측했다. 알파인매크로의 왕얀 투자전략가는 “중국 정부의 5% 목표는 달성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며 “향후 ‘느린 붕괴’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책 입안자들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일관된 전략이 부족하다”며 “조각 단위의 조치조차 임시방편이고 당국이 주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신규 주택 매매 증감 추이. 단위 %. 기준 전년 대비. 7월 -19.7%. 출처 블룸버그
▲중국 신규 주택 매매 증감 추이. 단위 %. 기준 전년 대비. 7월 -19.7%. 출처 블룸버그
중국 경제 발목을 잡는 부동산 침체는 회복 조짐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7월 신규 주택 매매는 전년 동월 대비 20% 가까이 감소했고 마찬가지로 신규 주택 착공도 20% 줄었다. 여파에 최근 2년간 일자리, 소비, 가계 자산 등 모든 것이 침체한 상태다. 주식시장에선 CSI300지수가 올해만 4.2% 하락했고 별다른 이변이 없다면 전례 없는 4년 연속 연간 하락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아시아증시가 거의 10%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는 올해 더 강력한 재정 조치로 대응하겠다고 했지만, 공공지출 측정치는 첫 7개월간 수축했다”며 “중국 경제학자들 사이에선 당국이 더 많은 돈을 차입할 수 있도록 올해 재정적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406,000
    • +6.03%
    • 이더리움
    • 4,474,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627,500
    • +12.66%
    • 리플
    • 829
    • +4.28%
    • 솔라나
    • 294,400
    • +5.37%
    • 에이다
    • 834
    • +15.51%
    • 이오스
    • 816
    • +19.3%
    • 트론
    • 230
    • +2.22%
    • 스텔라루멘
    • 153
    • +6.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13.4%
    • 체인링크
    • 20,220
    • +4.28%
    • 샌드박스
    • 418
    • +9.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