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손이 부족한 농업 현장에서 여성농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여성농의 규모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작업 공백 우려를 줄이기 위해 여성농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인력 부족과 대응 : 여성농업인 확대를 위한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22년 농가인구 중 남성은 연평균 2.8% 감소했고, 여성은 3.1%가 줄어들며 큰 감소폭을 보였다.
농업부문 취업자도 남성은 늘어나는 반면 여성은 감소해 농업부문 여성 취업자 비율은 2018년 43.8%에서 2020년 41.3%로 축소됐다.
농가 인구는 꾸준히 줄어들고 고령화도 지속하고 있다. 2020년 농가 수는 103만5000호로 2000년 138만3000호에서 25.2% 줄었다. 이 기간 65세 이상 경영주 비율은 32.7%에서 56%로 증가했고, 40세 미만 경영주는 6.6%에서 1.2%까지 떨어졌다.
농업 인력이 감소하면서 여성농업인의 역할은 커졌다. 2023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농민은 전체 농사일의 50.2%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농업인은 가사를 병행하면서 수확관리와 잡초관리 등 주로 기계화율이 저조한 과수나 노지채소 등 노동집약적 영농활동에 종사했다. 때문에 여성농의 감소는 농가 일손 부족과 직결된다고 농경연은 분석했다. 실제로 여성농업인 중 임금근로자 비율은 2017년 14.1%에서 2020년에는 7.8%로 감소했다.
김수린 농경연 연구위원은 "여성농업인의 감소는 기계화율이 낮은 과수와 노지채소 등을 중심으로 1개월 미만 단기 일용직에 대한 집중적인 수요가 발생하는 농번기의 노동력 부족을 가중할 우려가 있다"며 "농가 인구 추이를 고려할 때, 이를 보완할 가족 노동력 측면의 여성농업인 규모 증가 역시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농경연은 여성농 이탈을 막기 위한 맞춤형 정책과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여성농을 위한 여성친화형 농기계를 개발하고, 기계화율이 떨어지는 밭농사에 특화된 농기계도 필요하다.
또 영농활동과 가사노동을 병행하는 여성농을 위해 가사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 등 여성농의 부담을 덜고 농촌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사업의 확대를 비롯해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 마련도 주문했다.
보고서는 "농번기 여성농업인의 가사노동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앙정부 사업화를 통해 국비와 지방비를 매칭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여성농업인의 저평가된 농업노동 가치를 제고하고, 적절한 보상이 따르도록 인건비 수준을 현실화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