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이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둔화에 따른 실질임금 회복 흐름에도 최근 3년간 실질임금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3년 물가 폭등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정액급여는 월평균 343만4000원으로 2021년 8월보다 1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둔화에 실질임금이 5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다만, 명목임금 증가율은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8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8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87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4%(12만8000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통계청, 9월 고용동향취업자 수 3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건설업 5개월째 감소…도소매 10.4만명↓청년층 취업 16.8만명↓…23개월째 감소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4만4000명 늘어 3개월째 10만 명대 증가세를 보였다. 고용률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지만 업황이 악화한 건설업과 도소매업 고용 부진이 증가폭을 제약했다
국내외 경기 둔화와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성과급 등 특별급여가 감소하면서 올해 상반기 상용근로자(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지지 않거나 1년 이상인 임금근로자)의 임금 인상률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3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임금총액(초과
통계청,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 산업·직업별 특성'비거주복지시설업 155만명…음식점업 이어 두 번째 150만↑
60대 이상 고령자 취업 비중이 높은 비거주복지시설 운영업 취업자가 올해 상반기 기준 역대 처음으로 150만 명대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임금단체협상(임단협) 타결 효과에 7월 임금 증가율이 대폭 확대됐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7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7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25만7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만4000원(7.4%)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직의 1인당 임금총액은 452만4
지난해 근로자 1명당 노동비용이 전년보다 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금이 포함된 직접비용은 증가세가 둔화하고, 간접비용은 감소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2023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결과에서 2023년 회계연도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613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1.9% 증가했다고
물가 둔화에도 실질임금 증가율이 0%대에 정체됐다. 명목임금 증가율이 함께 둔화한 탓이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6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86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4000원(3.3%)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임시·일용직(1
통계청, 6월 고용동향 발표취업자 40개월째 증가…실업자 5만명↑비경활인구 2.1만명↑…40개월만 증가 전환
6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만6000명 늘어 4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전달(5월·8만명)에 이어 2개월째 증가폭이 10만명을 밑돌았다.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한 기저효과와 폭염 등이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10일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만6000명 늘었다. 직전 달(5월·8만명)에 이어 두 달 연속 취업자 증가폭이 10만명을 밑돌았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4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90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만6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 1~2월 30만명대 증가 후 3월 10만명대(17만
최근 2년 사이 결혼에 성공한 남녀의 스펙이 공개됐습니다. 남자는 연봉 7000만 원, 여자는 연봉 4500만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결혼 성공 모델의 수치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니냐는 한탄이 나왔습니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상용근로자의 평균 연봉과도 큰 차이가 있는데요. 이 또한 고소득 연봉자의 연봉을 반영한 터라 중위소득으로 보면 그 차이는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다만 임금 증가는 300인 이상 사업체에 집중됐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4월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4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3% 증가했다. 상용직 임금은 특별급여가 10.8% 늘며 410만 원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9개월째 감소 중인 가운데 지난달 청년 상용직이 19만 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그냥 쉰다는 청년도 40만 명대로 다시 증가하고 있어 청년 고용의 질과 양이 모두 악화하는 모습이다.
2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청년층 대상 통계수치를 보면 5월 청년층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5만3000명으로 전
2021년 이후 최소폭…공휴일 등 영향실업자 9.7만명↑…청년실업률 0.9%↑정부, 일자리TF 개최…"업종·계층 면밀 모니터링"
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8만명 늘었지만, 조사 기간 석가탄신일 포함, 기상 악화 등 영향으로 증가폭은 39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실업자 수는 10만명 가까이 늘어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저출생 문제가 심각하다. 인구 감소는 이미 시작됐고 이로 인한 재앙은 머지않아 가시화될 미래다.
통계청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474명,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0.76명을 기록했다. 둘 다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다. 1분기 합계출산율이 0.8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출생아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그나마 고용은 회복 조짐을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3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올해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01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1%)에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꾸준히 우상향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어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38개 회원국 평균(5만3416달러)의 91.6%에 달했다. OECD 회원국 중 19위다.
한국 평균임금은 30년 전인 1992년 약 2만6000달러에서 줄기차게 상승했다. OECD 기준 통계로는
2월 실질임금이 설 상여금 효과로 ‘반짝’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2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35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1.5%(45만 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직은 463만2000원으로 11.9%(49만 원), 임
경총, ‘사업체 임금인상 특징 분석’전년 比 2.8% ↑…인상률은 낮아져초과급여 포함 시 5000만원 넘어금융ㆍ보험 임금총액 8722만원…숙박ㆍ음식점업보다 5700만원 ↑
지난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정액급여+특별급여)은 4781만 원으로 전년 대비 2.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급여를 포함한 연 임금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5000만
3월 취업자가 전년동월대비 17만3000명 증가에 그치며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37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정부는 취업자 수가 작년 3월에 증가세가 크게 확대(46만9000명)됐던 기저효과 영향으로 최근의 가팔랐던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4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월 15세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