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치러진 문·이과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불수능’을 넘어 ‘마그마 수능’이라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특히 문과 학생과 이과 학생이 모두 공통과목(수학 1, 2)을 응시한 데다 문제가 어렵게 출제되면서 문과생들에게 더 불리하다는 아우성이 들린다.
수능 결과 보도를 보면서 얼마 전 지인에게 들은 얘기가 생각났다. 싱가포르 대학에 딸을 유
문·이과 통합 체제로 처음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와 수학, 영어 영역의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3일 실시한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을 보면 국어 영역은 146점으로 지난해 시행한 2021학년도 수능 144점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이 늘어나면서 2022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수시모집을 노리던 학생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8일 진학사에 따르면 2022학년도 서울의 주요 15개 대학을 기준으로 수시선발 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비율은 46.2%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와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높아진 수치다. 대입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어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국내 산업구조의 체질이 바뀌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 감염증을 겪은 후 코스피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바이오·배터리·인터넷·게임(BBIG) 위주로 재편됐다. BBIG 업종은 정보기술(IT)·반도체 산업과 함께 한국의 미래를 먹여 살릴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산업구조의 개편은 일자리 시장 개편으로 이
올해 고3 학생들은 최초로 ‘문·이과 통합형 수능’을 치르게 된다.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도입되고 EBS 연계율이 70%에서 50%로 줄어든다. 특히 서울 주요 대학의 수능 전형 선발 인원이 크게 늘고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선발 인원은 감소하게 되면서 이에 따른 학습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3일 입시전문가들은 “학령인구
흔히 특목고 진학은 좋은 대학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말하는 현실 속에서 내신은 계속 강조되고 있다. 특히 주요 과목인 수학 내신을 잘 받기 위한 지나친 선행·심화 학습은 아이들을 ‘수포자’(수학포기자)로 만들고 있다.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는 수포자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부는 지난 9월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을 확정·발표했다.
2015 개정
철학과를 중퇴한 스티브 잡스, 법대를 중퇴한 빌 게이츠는 전세계에 융합인재 양성 화두를 던진 인물들이다. 경영을 비롯한 인문학과 IT를 융합시킨 인재들은 세계경제의 핵심으로 활동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이러한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창의적인 융합인재 양성에 뜻을 모으고 ‘창의융합(STEAM)인재’의 육성을 목표로 201
2018년부터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도입돼 모든 고등학생은 문·이과 구분없이 국어ㆍ영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을 공통으로 배운다. 특히 공통과목 가운데 통합교과목으로 개정되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국정교과서로 발행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을 24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고등학
2017년부터 문·이과 계열 구분 없이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을 공통과목으로 배우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도입된다. 또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부터는 공통교과가 반영돼 문·이과생 모두 사회, 과학 등 통합교과를 무조건 응시해야 한다.
교육부는 국가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와 함께 12일 한국교원대에서 열리는 공청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교육부는 문·이과 통합과정 개발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정책자문위’를 발족시켰다고 7일 밝혔다.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이 위원장으로, 조벽 동국대 석좌교수, 오세정 서울대 교수 등 총 18명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정책자문위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책 전반에 관해 교육부 장관에 자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정책자문위는 2021학년도 문·이과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