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이후 국민들이 ‘에어포켓’에 걸었던 희망은 부질없는 것이었다는 사실이 국회 국정조사 과정에서 속속 드러나고 있다.
사고 초기 언론에서는 에어포켓 덕에 침몰된 배 안에 갇힌 지 사흘 만에 구조된 해외 사례를 반복적으로 보도하며 기대를 높였지만, 정작 해경은 에어포켓 존재 가능성 자체를 낮게 본 데다 그나마 있을지 모를 에어포켓을 이용해 구조하려는 의지조차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의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이 3일까지 해경 문건 등을 토대로 발표한 바를 종합하면, 해경은 사고 직후부터 에어포켓 존재 가능성이 희박하고, 있다하더라도 배에 갇힌 탑승객들이 어둠 속에서 에어포켓을 찾아 이동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판단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해경은 사고 당일인 16일 오후 5시30분께 “세월호 선내에 공기가 많이 빠져 나오고 선내 진입곤란 공기 배출완료시 잠수사 투입 선내 수색 예정”이라는 보고를 해군, 전남도청 등 30개 유관기관에 보냈다. 혹여 존재했을지 모를 에어포켓마저도 사라지길 기다렸다가 수색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던 것으로, 김현미 의원의 표현대로라면 “에어포켓의 소멸을 아예 손 놓고 기다린 셈”이다.
그러나 해경은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날 유가족 앞에서 공기주입을 지시하자 ‘선내 생존자의 생존가능성 증대’라는 목적 하에 18일 선체에 공기주입을 시도했다. 이마저도 빠른 조류 때문에 몇 차례 실패를 겪은 후에야 성공했지만, 이 때 주입한 공기에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 가스가 상당 정도로 포함됐을 수 있다는 잠수부 증언을 김 의원이 전하면서 해경을 향한 공분은 더 커졌다.
김 의원은 “있는 공기마저 빠지길 기다린 구조당국이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음을 알고도 에어포켓 운운하며 신속한 구조작업은 등한시한 채 엉터리 공기주입을 벌였던 건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보던 국민을 기만하기 위한 한낱 쇼였다”며 “해경은 세월호 가족들과 국민을 속인 데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조특위 심재철 위원장도 해경이 벌인 ‘에어포켓 희망고문’을 질타하는 한편, 에어포켓 가능성을 처음 제기한 ‘진원지’를 찾고 있다. 국민들에게 잘못된 정보로 헛된 기대를 심어, 결과적으로 실망도 배가시킨 이에게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심 위원장은 3일 국정조사 과정에서 “해군과 해경은 공식적으로 에어포켓을 언급한 적이 없다는데 누가 처음 에어포켓에 대한 발언을 했는지 모르겠다”며 “누가 어디서부터 에어포켓을 만들었는지 계속 추적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