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그들은 1년간 계속되는 주말 출근에도 ‘월요병이 없어졌다’며 오히려 너스레를 떤다. 금융위 직원들에게 워커홀릭이란 별명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경제 미래 성장동력으로 금융산업이 떠오르면서 이들은 지난해부터 금융감독 체계 선진화, 정책금융 역할 재정립,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 우리금융 민영화 등 4대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다양한 정책과제를 추진해 왔다.
그 중심에는 정찬우 부위원장이 있다. 정 부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금융정책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한 인물이다. 금융정책 공약의 기틀을 짠 ‘경제브레인’으로 통한다.
그는 초기 금융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하며 외환과 국제금융에 대해 연구했다. 이후 전남대 경영대 부교수로 자리를 옮겼고 이후 금융연구원에 복귀해 제2금융·서민금융·가계부채 분야를 연구해 왔다.
지난 1년간 신제윤 위원장을 보좌해 금융정책을 진두지휘해 온 정 부위원장은 이론과 시장을 접목시켜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그는 금융소비자 정책 종합계획, 통합산은 합병 방안,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 등 금융위에서 진행하고 있는 4대 핵심과제를 적극 추진해 왔다.
특히 신 위원장이 직(職)을 걸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보였던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도 적극 추진해 왔다. 우리투자증권 패키지도 성공적으로 매각됐고 경남·광주은행 매각의 걸림돌이던 세금 문제도 해결됐다. 민영화 마지막 관문인 우리은행 매각 방식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11년간 끌어온 과제도 마침표를 찍기 직전이다.
그러나 정 부원장을 비롯한 금융위 직원들은 이제 시작이라고 말한다. 곳곳에 숨어 있는 ‘나쁜 규제’를 해결해야 하고 통일금융의 방향도 잡아야 한다. 오늘도 정 부위원장을 비롯한 금융위 직원들의 컴퓨터가 꺼지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