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31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7곳에 500여발의 포를 발사, 이 중 100여발이 우리측 수역에 떨어졌다. 이 같은 도발을 놓고 한국의 드레스덴 제안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방한 등으로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 재개 논의에 반발하는 북한이 국면전환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도발은 한국과 주변국들의 비핵화 요구 등에 압박감을 느낀 북한이 군사적 행동에 나서 주도권을 가져가려는 행위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은 지난 28일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3대 제안에 그동안 침묵을 깨고 직접적인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북한은 박 대통령이 인도지원 확대, 경제협력 강화, 교류협력 확대의 내용을 담은 3대 제안 발표 당시에는 어떤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포탄을 발사한 날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박 대통령의 3대 제안을 겨냥해 “잡동사니들을 이것저것 긁어모아 ‘통일 제안’이랍시고 내들었다”고 비난했다. 앞서 30일에는 유엔(UN) 안보리의 북한 노동미사일 발사 규탄 성명에 반발해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을 예고하는 등 핵 도발 위협을 내세우기도 했다.
같은 날 한·미 양국의 대규모 상륙연습도 북한을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 훈련이 평양 진격을 위한 상륙작전이라며 경계심을 보여왔다.
또 이번 대량 포탄 발사는 4월 하순으로 예정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노린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국과 미국 주도의 6자회담에 맞선 북한이 직접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30일 예고한 4차 핵실험을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에 맞춰 단행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긴급 대응에 나섰다. 청와대는 이날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개최해 대응방향에 대해 협의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김 실장을 중심으로 관계자들이 위기관리센터에서 상황을 주시해온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에게도 필요한 사안을 보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향후 도발에 대비해 서북도서 지역뿐만 아니라 비무장지대(DMZ) 인근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도 취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북한은 이례적으로 해상사격훈련 구역을 미리 우리측에 통보했다. 전문가들은 이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국제사회가 북한을 규탄하는 상황에서 또 다시 예고 없이 사격훈련을 감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