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금융위기 우려 고조…지난해 부실대출 상각처리 급증

입력 2014-03-31 08:46 수정 2014-03-31 10: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5대 대형은행, 2012년의 2배 이상

중국 은행들의 부실대출이 급증하면서 중국발 금융위기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중국 5대 대형 시중은행의 지난해 부실대출 상각 처리 규모가 590억 위안(약 10조1600억원)으로 지난 2012년보다 127% 급증했다고 3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이는 아시아 외환위기 여파로 정부가 구제금융 등 은행 지원책을 실시했던 지난 1990년대 말 이후 가장 많은 수치라고 FT는 전했다.

부실대출 상각 처리 규모 급증은 중국 경기둔화 파장이 전반적인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주고 있다는 또 다른 증거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올 초 그림자금융의 핵심 부문인 중국 신탁상품은 디폴트(채무불이행) 직전까지 몰렸으나 정부의 지원으로 막판 간신히 위기에서 벗어났다. 그러나 이달 상하이 소재 차오리솔라에너지과학기술이 채무를 갚지 못해 중국 회사채시장 역사상 첫 디폴트가 발생했다. 또 지난주 장쑤성 옌청시에서는 현지 소규모 지방은행이 예금인출을 거부했다는 소문이 돌면서 뱅크런(집단 예금인출 사태)이 벌어져 당국이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최근 경제지표가 잇따라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인 7.5%에 못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됐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주 “경제하강 압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우리는 경제 변동에 대비할 정책수단을 갖고 있다”고 밝혀 중국 정부가 조만간 추가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대형은행들은 부실대출에 따른 비용손실에 대비해 상당 규모 유보금을 보유하고 있어 실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5대 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 대비 7~15%가량 증가했다. 이는 전년보다 주춤한 성장세지만 여전히 견실한 편이라고 FT는 전했다.

은행들이 부실대출을 적극적으로 상각 처리하면서 부실여신(NPL) 비율은 지난해 1.00%로 2012년의 0.95%에서 소폭 커지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NPL 비율이 공식 통계보다 최대 다섯 배 정도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창랴오 애널리스트는 “은행들은 경기하강에 대비할 만큼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본다”며 “그러나 은행들이 NPL 비율을 인위적으로 낮추고자 상각 처리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은행이 금융당국과 투자자의 불안을 완화하고자 상각 처리로 부실대출 규모를 최대한 낮추려 한다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고장 난 건 앞바퀴인데, 뒷바퀴만 수리했다 [실패한 인구정책]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단독 車 탄소배출 늘어도 최대 포인트 받았다...허술한 서울시 ‘에코’
  • WSJ “삼성전자ㆍTSMC, UAE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 건설 추진”
  • '뉴진스 최후통첩'까지 D-2…민희진 "7년 큰 그림, 희망고문 되지 않길"
  • '숨고르기' 비트코인, 한 달 만에 6만4000달러 돌파하나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9.23 12: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11,000
    • +2.38%
    • 이더리움
    • 3,579,000
    • +2.87%
    • 비트코인 캐시
    • 465,500
    • +1.46%
    • 리플
    • 794
    • -0.63%
    • 솔라나
    • 198,800
    • +0.51%
    • 에이다
    • 481
    • +1.48%
    • 이오스
    • 705
    • +1.59%
    • 트론
    • 203
    • +0%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100
    • +1.07%
    • 체인링크
    • 15,330
    • +0.79%
    • 샌드박스
    • 377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