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기업의 전략적 인수ㆍ합병(M&A)이 가속화할 전망이라고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반도체산업 부흥을 꾀했을 때 대형 국영기업이 현지 중소업체를 대거 인수했다. 이와 비슷한 상황이 희토류산업에서도 일어났다. 중국 최대 희토류 생산업체 바오터우철강은 지난해 말 네이멍구 지방정부로부터 9개 영세업체를 인수했다. 이는 오염을 많이 유발하고 밀수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 희토류 산업 통폐합을 가속화하려는 정부 의도와 부합한다는 평가다.
중국 지도부는 “시장이 자원배분의 결정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일부 국영기업의 독점 체제를 타파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자국의 핵심 이익이 달린 산업에서는 앞으로도 수년간 국영기업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대의 스콧 케네디 교수는 “중국 중앙정부는 그동안 전략산업의 통제를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이 부문에 속한 기업 상당수가 지방정부가 직접 세운 기업이거나 지원을 받아왔기 때문이다”라며 “이에 중앙정부는 대형 국영기업의 M&A를 장려하는 등 산업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대형 국영기업은 이미 상당한 정치적 역량을 갖고 있어 정부의 이런 움직임에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중국 지도부는 정책 우선순위 집행을 위해 국영기업을 계속 압박할 것이라고 WSJ는 내다봤다.
중국 최대 은행인 공상은행은 지난 2009년 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고자 대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을 지시했을 때 부실대출 급증을 우려해 제대로 응하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4대 시중은행 총재 인사에서 유일하게 장젠칭 공상은행 총재를 승진 대상에서 제외해 당의 정책을 따르는 것이 이익보다 우선시돼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중국 지도부는 국영기업 역할과 관련해 종종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을 예로 들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테마섹이 싱가포르 핵심산업을 장악한 주요 기업 지분을 보유하면서도 효율성과 순이익 제고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