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직원 비리사건이 잇따라 터지자 최고경영자(CEO)의 윤리의식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영훈 바른사회시민사회 경제실장은 “윤리경영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제도를 만들어도 모두 실천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제도를 지키겠다는 사내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이 때문에 CEO의 강력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며 “상위 직급에서 윤리경영을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기업인의 사회적 책임의식 강화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컸다.
조중근 지속가능기업연구회 대표는 “기업을 북돋워 주려 해도 비리사건이 터지면 섣불리 나서지 못하게 된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인의 의식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이를 위해서는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기업에 공헌하고 있다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다해야만 국민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직원의 개인비리와 기업의 이미지를 결부시켜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노재성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팀장은 “기업이 윤리경영을 강조하고 임직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교육이 완전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투명경영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은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직원 개개인의 비리를 기업의 이미지와 바로 결부시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한상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민들의 반기업 정서에 대한 의견은 ‘높다’가 70.2%로 전 분기(66.5%) 대비 3.7%포인트 증가했다. 기업호감도와 관련해서는 ‘사회공헌 활동(40.9점)’, ‘윤리경영 실천(25.2점)’은 평균 이하를 기록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