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부실 의혹과 베이징지점의 인사 파문 등 악재로도 홍역을 치르고 있다. 특히 이건호 행장은 이와 관련해 사전에 실무진으로 부터 보고 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내부보고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냈다.
이번 국민은행의 대형 금융사고는 과거 경영진 재임기간에 발생됐다. 지난 7월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 행장이 취임한 이후 수면위로 드러나고 있다. 문제는 내부통제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주인이 없다보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은행 경영에 전문성이 없는 인사들로 하여금 내부 갈등을 키웠다는 얘기다.
앞서 도쿄지점 비자금 사건에선 야쿠자 자금으로 의심되는 돈이 입금되고 차명으로 대출이 나가도 내부 감사에서 한번도 드러나지 않았다.
국민주택채권 위조·횡령 사건은 지난 2010년 부터 최근까지 국민은행 본점 신탁기금본부 직원들이 국민주택채권의 만기와 일련번호 정보를 이용해 충무로의 인쇄업체에서 위조채권을 만들어 은행 창구에서 90억원어치를 바꿔치기 한 사건이다.
그러나 은행측은“사전에 담당자의 치밀한 계획이 있었다”며“내부에서 적발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금융권 한 인사는 “국민은행의 경우 주인이 없어 낙하산 인사가 이뤄지고 경영진끼리 알력을 빚는 경우까지 나타나면서 은행원들의 사기와 도덕성이 크게 흔들린 게 원인”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만 해도 올해 초 미국의 주총분석회사인 ISS가 사외이사 선임 반대 의견을 내면서‘ISS 보고서 사태’를 겪었다. 당시 어윤대 전 회장의 측근인 박동창 부사장이 내부 자료를 ISS에 전해 준 것으로 밝혀졌다. 어 전 회장을 반대하는 사외이사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어 전 회장과 박 전 부사장에 대한 제재를 주의적 경고 상당(현직에 있었다면 주의적 경고에 해당한다는 뜻)과 3개월 감봉으로 조치를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