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가격과 환율변동이 하반기 물가 교란 요인으로 지목됐다.
급등세를 보인 전세가격 오름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고, 주택매매가는 지방을 중심으로 상승 전환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은 지난달 31일 발표한 ‘물가보고서’에서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과 함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맞물린 원·달러 환율의 상승 가능성이 물가를 올릴 수 있는 위험으로 잠재해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올해 하반기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해 상반기(1.3%)보다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상 7~9월에는 장마나 태풍으로 농산물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데, 배추나 당근 등 일부 계절 채소는 공급 축소가 예상돼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또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실행되면 원·달러 환율을 끌어올리면서 수입제품을 중심으로 물가 수준을 상향 조정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반기에 예고된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상승 압력을 키울 요인으로 꼽혔다. 7월 들어 전국의 지역난방비는 이미 평균 4.9% 인상됐다. 서울·인천·경기·경남·제주의 택시요금 기본료는 600원씩 올랐거나 곧 오를 예정이다.
한은은 “춘천·구미·광주의 상하수도 요금, 충남의 시내버스 요금 등 그동안 인상 폭이 제한적이던 공공요금이 상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원유(原乳)가격을 매년 생산비에 연동해 조정하는 ‘원유가격 연동제’도 올해 처음 시행되면서 소비자물가를 연간 0.1% 올릴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무상급식·보육은 물가를 연간 0.3% 낮추는 것으로 평가했다.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은 수도권에서는 매수심리가 약해 하락세가 이어지겠지만,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소폭이나마 상승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폭등 추세인 전셋값은 오름폭이 둔화될 것으로 봤지만 매매가 약세지역이나 개발 호재지역의 경우 국지적으로 전셋값이 불안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은 관계자는 “내년엔 경기 회복으로 상방 압력이 확대되겠지만, 정부의 4·1 대책 종료 이후 불확실성 때문에 오름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