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25일 오전 10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6차 실무회담에 돌입했다. 양측은 앞선 5번의 회담에서 개성공단 국제화 등 일부 사안에 대해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가동중단사태와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장 방안 마련 등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입장 차는 여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대한 북측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과 재발방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우리 측 입장을 북측이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 지가 관심사다.
특히 이번 회담은 개성공단 사태의 중대기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정상 오는 27일은 북한의 전승절(정전협정일) 행사와 8월 한미연례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등을 감안할 때 6차 회담이 사실상 마지막 회담이 되거나 회담 장기화로 인한 공전이 예상된다. 이런 탓에 일각에서는 실무회담을 국장급이 아닌 차관급 이상의 수석대표로 ‘급’을 높여 회담을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5차 회담에서 북측이 개성공단 국제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공단 정상화의 여지는 남아있다. 청와대 측도 박근혜 대통령의 하계 휴가(7월29일~8월2일) 전 일정부분 공단 정상화와 관련한 진전을 이뤄내야 한다는 의중으로 알려졌다. 공단을 정상화 궤도에 올려놓은 뒤 하반기 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인 신뢰프로세스 전개를 본격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회담은 5차 때와 마찬가지로 우리 측에서는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수석대표로 홍진석·허진봉 통일부 과장이, 북측에서는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총국 부총국장을 수석대표로 황충성 민족경제협력위원회(민경협) 참사와 원용희 등 3명이 대표로 나섰다.
앞서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가동중단과 같은 일방적인 조치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아야 된다는 재발방지 보장과 함께 상식과 국제적 규범에 맞고 국제적인 경쟁력 있는 공단으로 발전해 나가는 방향에서 계속적으로 협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실무회담에서 정부는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 합의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