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이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여성 리턴십 프로그램’에 이어 아르바이트를 ‘시간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대책을 내놓았다. 박근혜 정부의 ‘고용률 70% 로드맵’ 발표 후 일자리 정책에 제일 먼저 화답한 셈이다. CJ그룹의 일자리 정책 대안을 두고 일각에서는 왜 하필 지금 이 시점이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재현 회장이 비자금 의혹 등으로 소환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재현 회장 구명을 위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박근혜 정부가 고용정책의 핵심으로 평가하고 있는 ‘시간제 일자리’를 꼽았기 때문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자금 의혹과 관련된 보도가 이어지자 여론의 따가운 시선을 달래기 위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전 대기업 역시 여론의 비난과 기업 총수와 연루된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규직 전환 계획을 내놓았다.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구속된 한화그룹은 올해 1월 2000여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최태원 회장이 구속된 SK그룹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5월 SK보다 2배 이상의 규모인 58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신세계그룹은 국회 불출석 혐의와 이마트 노조탄압으로 정용진 부회장이 여론의 질타를 받자 91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이어 5월에는 백화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22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정규직 전환 비용도 만만치 않다. CJ그룹은 1만5271명의 아르바이트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약 200억원이 비용이 들어간다. 이마트의 경우 650억원의 비용을 예상했다. 연이은 매출 하락에도 불구하고 총수를 구제하기 위해 출혈을 감수하겠다는 것이다.
배경과 의도를 떠나 대기업들이 정규직 전환 책을 내놓는 것에 일단은 반기는 분위기다. 일자리 대책에 해법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 같은 흐름이 재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허나 위기가 닥쳐야 제대로 된 해법을 내놓는 대기업의 모습이 씁쓸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