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 국제컨퍼런스]한국기업 CSR, ‘자선’ 단계에 머물러 있다

입력 2013-05-16 17:41 수정 2013-05-16 1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의 CSR 수준이 아직 ‘자선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진단했다.

16일 이투데이와 코스리(KOSRI)가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2013 대한민국 CSR 국제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연사들의 강연이 끝난 후 각계의 전문가들이 나서 CSR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다.

이날 토론에 나선 전문가들은 이지현 쥴리안리앤컴퍼니 대표, 잉게보그 본 네덜란드 CSR표준협회 사무총장, 웨인 비서 박사, 이남식 계원예술대 총장, 김영기 LG그룹 부사장, 김정태, 임팩투투자컨설팅 MYSC 이사 등이었다.

이 대표는 토론회 서두에서 “사회적 책임은 한국에서 뜨거운 주제중 하나다”면서 “하지만 한국의 경우 사회적·정치적인 압력이 많고 특히 대기업들로 하여금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많은 압력을 받고 있다”고 화두를 던졌다.

이에 웨인 비서 박사는 “저는 여러단계가 있다고 말했고 CSR의 다양한 영역에서 아직은 실험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하지만 정부가 지원해주는 인센티브와 시민사회의 요구없이 다음단계의 CSR로 넘어가는 것을 기업들이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고 평가했다.

김영기 LG전자 부사장은 “기업별 규모나 단계차가 크지만 개인적으로 한국의 CSR은 아직 자선에 머물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한국기업은 이제 터닝포인트를 넘어가고 있는 단계로 이 단계를 넘어서면 앞으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의 규제와 CSR의 발전에 대한 부분에서는 많은 의견 차이가 있었다.

이남식 총장은 “CSR을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면서 “많은 국가들이 ISO26000등의 기준을 만들고 있지만 이는 결국 최소한의 기준일 뿐 기업들은 이보다 더 나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본 사무총장은 “사회적 책임의 이행은 조직의 특성에 맞도록 해야 한다”면서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개량화 하기 어렵다는 애로사항이 있는만큼 법이나 제도 등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웨인 비서 박사 역시 “CSR이 꼭 자발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에는 반대한다”며 “지난 20~50년동안 자발적인 CSR은 실패를 확인한 기간이었고 자발적 접근법은 실효성이 없었던 만큼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김영기 부사장은 “CSR은 시대적 기준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며 “최근에는 CSR을 통해 기업가치가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주주들도 동의를 해주지만 기존에는 소송을 당한 경우도 있는 만큼 유연한 생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태풍 '콩레이' 열대폭풍으로 약화…한반도 비바람 몰고 왔다
  • 한국판 블프 '코리아 세일 페스타' 할인 시작…포터EV 500만 원 싸게 산다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이용객 유의
  • 프리미어12 야구 대표팀, 오늘 쿠바와 평가전…중계 어디서?
  • 1인 가구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 '건강한 밥상' [십분청년백서]
  • 서울에는 김밥·구미에는 라면…주말 분식 축제 [그래픽 스토리]
  • [1보] 尹지지율 20% 벽 무너졌다...“19%로 최저치” [한국갤럽]
  • 지드래곤, ‘파워’ 발매되자마자 차트 올킬…용의 귀환다운 화제성
  • 오늘의 상승종목

  • 11.01 11: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307,000
    • -4.15%
    • 이더리움
    • 3,476,000
    • -5.72%
    • 비트코인 캐시
    • 489,500
    • -5.41%
    • 리플
    • 709
    • -2.21%
    • 솔라나
    • 232,800
    • -4.67%
    • 에이다
    • 471
    • -5.04%
    • 이오스
    • 610
    • -4.54%
    • 트론
    • 234
    • -0.85%
    • 스텔라루멘
    • 128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150
    • -2.03%
    • 체인링크
    • 15,820
    • -6.89%
    • 샌드박스
    • 335
    • -4.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