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변하고 있다. 단순한 기부와 자선 활동을 넘어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 있다.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자선(慈善)이나 고용 및 이윤 창출에 국한됐다. 기업은 단순히 경제성장의 주체로만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사회적인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기업의 윤리 및 도덕성이 중요한 소비 판단 기준으로 여겨지면서 사회공헌 활동은 급격히 진화하게 된다. 최근 욕설 파문으로 불매 운동이 벌어진 남양유업 사태는 기업의 윤리·도덕적 이미지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기업들은 이러한 사회적인 평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경영전략의 하나로 ‘나눔과 배려’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차별화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사회 구성원들과의 진솔한 소통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11년 말 기준으로 매출 상위 500개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에 사용한 비용은 3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사회공헌에 본격적으로 참여한 2002년 약 1조원 대비 10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기초생활보장·취약계층지원·보육·노인 등) 예산 15조3887억원의 5분에 1에 달한다.
기업들은 장학금 지원, 집수리 사업 등 소외계층 지원에서부터 어린이집, 공원, 복지시설 등 국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한 사회 인프라 구축까지 전 영역에 걸쳐 나눔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리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 수준도 이웃 일본에 비해 높다. 2011년 기준 세전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중은 우리나라가 3.20%를 기록해 일본(2.73%)보다 앞서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사회공헌을 지출 규모로만 평가할 수는 없지만, 우리 기업들이 나눔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면서 “사회공헌은 직원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줘 애사심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가 잘하는 것을 드립니다”=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공헌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그동안 물질적인 지원에 주력해 왔다면 기업 스스로 ‘잘하는 것’을 사회공헌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평생 자립을 돕는 재계의 활동이 눈에 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장애인용 안구마우스인 ‘아이캔(eyeCAN)’을 개발, 지원하고 있다. 아이캔 마우스는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PC를 조작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가진 기존 제품은 1000만원대의 고가인 반면, 아이캔은 5만원 수준이다.
현대자동차는 2005년부터 휠체어 슬로프, 회전시트 등을 장착한 ‘이지무브’ 차량을 개발·보급해 왔다.
이동통신 3사는 장애인들이 ‘소통’할 수 있는 지원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SK텔레콤은 2007년 영상통화를 이용해 수화로 고객 문의사항을 상담하는 ‘3G+영상고객센터’를 개설해 음성전화 서비스에서 소외돼 있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배려에 나서고 있다.
KT는 2003년부터 ‘소리찾기 사업’으로 청각장애 아동들에게 귀 수술을 지원해 413명에게 새 삶을 선물했다. LG유플러스는 임직원과 자원봉사자가 신간 시집과 문학 도서를 낭독·녹음한 시각장애인용 오디오북을 만들어 기부하는 참여형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보네이션(Vonation)’을 진행 중이다.
기업의 사회공헌이 일회성 지원에 그치지 않으려면 지속적인 ‘관계 성립’이 필요한데, 이를 구체화시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담 조직에 대한 중요성도 제기된다. 특히 사회공헌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담부서가 있어도 최종 결정은 비전문가(경영자)들이 내리는 비효율적인 구조에 대한 개선 필요성도 나오고 있다.
한 복지단체 관계자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베푸는 쪽과 받는 쪽의 정서적인 교감이 있을 때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며 “단방향의 봉사나 지원은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업들의 순수한 노력을 자칫 퇴색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최근 사회적 책임이 기업 경영에 한 축으로 인식되고 있어 건전한 사회 만들기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지속 가능한 다양한 활동으로 기업·시민사회가 함께 동반성장할 수 있는 한국형 사회공헌 문화가 정착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