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정책처가 25일 발간한 ‘지방공기업 재무현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7개 공사의 누적결손액은 14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본잠식률은 44%다.
7개 공사의 금융부채는 4조6000억원으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비용만 한해 915억원에 달한다. 최근 5년 동안 7개 공사에 쏟아 부은 지자체의 지원액도 9조원이나 된다.
특히 수도권 1~4호선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메트로의 자본잠식률은 무려 82.8%에 달해 완전 자본잠식에 처할 위기에 빠졌다. 상장기업이라면 상장폐지감이다.
다른 지하철공사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수도권 5~8호선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자본잠식률은 2007년 41.3%에서 5년 만에 46.5%로 늘었다. 같은 기간 대구도시철도공사는 20.5%에서 32.0%로, 부산교통공사는 7.1%에서 16.2%로 자본잠식이 심해지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부실정도가 덜 한 인천교통공사 역시 7.8%에서 11.9%로 자본잠식률이 높아지고 있다.
7개 공사의 매출은 2007년 1조8000억원에서 2011년 2조원으로 확대됐지만 매출원가율이 평균적으로 130%를 상회하는 등 경영적자가 심각했다. 최근 5년간 영업손실은 8040~9275억원이며, 당기순손실도 7407~9038억원에 달했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의 경우에는 65세 노인이나 장애인 등에게 운임을 감면해주는 것이 적자 경영의 일부 요인이 되고 있다. 인천과 대구, 광주, 대전의 지하철의 경우엔 승객 수를 확보하지 못한 게 주된 적자 원인으로 꼽혔다.
한편 지하철공사 뿐 아니라 다른 지방공기업들 상당수도 부실경영을 이어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1년 말 기준 379개(작년 말 현재 388개) 공기업의 총자산은 2008년 119조원 이후 꾸준히 증가해 현재 160조원에 달하지만 최근 5년 동안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등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이 중 영업정지, 해산, 완전 자본잠식 등의 사유로 영업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기관은 강원도개발공사, 태백관광개발공사, 화성도시공사, ㈜탑글로리 등 10곳이나 됐다.
보고서는 지방공기업의 취약한 재무건전성 개선을 위해 지방공사채 발행한도 축소 및 중장기재무관리계획 수립과 이행실적을 지방의회에 의무적으로 보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