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한 살 젊을수록 은퇴도 빨라진다.”
지난 18일 통계청이 발간한 ‘노동생명표 작성을 통한 중·고령 세대의 은퇴연령 분석’ 보고서에서 나온 내용이다. 현재 20~30대의 예상되는 은퇴 연령이 50~60대 장년층보다 빠르다는 것. 앞으로 일할 수 있는 날이 점점 짧아졌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가 점차 100세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들의 경제활동은 국가적 차원의 고민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빈곤율은 49.4%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5%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들은 스스로 일을 통해 생활을 영위하고자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 중 경제활동에 참여한 인구가 2003년 1월에 비해 2013년 1월 56.6% 증가했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지난 6일 발표한 ‘2011 노인 일자리 통계동향’을 보면 65세 이상 노인의 고용률은 지난 2011년 28.9%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베이비부머’로 지칭되는 중·장년층의 은퇴를 대비한 활동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최근 위험부담이 큰 창업이나 ‘그림의 떡’인 안락한 전원생활에서 조금이라도 과거 직무와 연장선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재취업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고용시장도 이런 추세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대규모 실버 취업 박람회 등 이들의 노하우와 직무 경험을 활용한다는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또 노인들의 재취업은 고령화 되는 사회에서도 큰 효과를 가져온다. 전문가들은 노년층 일자리 사업이 빈곤률을 완화하며, 사회적인 관계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한다. 또 우울증, 자존감 등 심적 상태에도 영향을 미쳐 건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이런 노년층의 재취업을 위한 정부 정책이나 기업의 사업은 모두 초기 단계이다. 때문에 사회 전체적으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새 정부 들어서 노인복지와 일자리 문제에 관심이 커지면서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해 정년연장을 내세우는 등 결과를 내놓으려 노력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부재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률과 자살률이 세계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노인 일자리 창출이 많은 부수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 과정에서 예상되는 청년층 일자리와의 충돌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와 관련해 정부뿐 아니라 기업과 취업을 원하는 개인까지도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실질적으로 인력을 끌어안아야 하는 기업들에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조직개편이 요구되며, 개인에게는 은퇴 후 인생을 넓은 시각에서 설계해 계획적으로 접근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