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운석우’ 체르노빌급 핵재앙 재발 위험

입력 2013-02-17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린피스 “핵시설 지상에 있어 파괴 위험 높아”

▲16일(현지시간)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한 공장 건물에 운석우가 떨어져 파손됐다. 첼랴빈스크/신화연합뉴스

러시아 우랄 지역에서 발생한 운석우가 지난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참사와 유사한 핵 재앙을 일으킬 뻔했다고 BBC방송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운석우란 큰 운석 조각이 대기권으로 진입하면서 대기층과 충돌해 폭발을 일으켜 작은 조각으로 부서진 뒤 불타는 상태로 땅으로 떨어지는 자연현상이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러시아 지부는 “운석우 현상으로 재난 지역인 첼랴빈스크주와 인근 스베르들롭스크에 있는 핵시설들이 파괴됐더라면 무시무시한 핵 재앙이 일어날 수도 있었다”고 밝혔다.

전날 우랄 지역에서는 운석우로 인해 건물 창문 등이 깨지면서 120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

첼랴빈스크주엔 핵물질이 보관된 마야크 핵처리 공장과 저준위 액체 방사능 폐기물을 저장하는 테첸스키 저수지 등 핵 시설이 있다. 인근의 스베르들롭스크주에서는 벨로야르스크 원자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또한 우랄 지역에는 핵무기를 보관해두는 지하 핵시설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린피스는 러시아가 이번에 체르노빌 원전 폭발과 유사한 참사를 기적적으로 피했다고 강조했다.

그린피스 러시아 지부의 블라디미르 추프로프 에너지 담당 코디네이터는 “미국이 건설한 플루토늄 저장고와 핵분열 물질 저장고 등이 있는 마약 공장이 지상에 있다”면서 “이 시설들이 운석 등으로 파괴되면 수천 t의 플루토늄이 방출돼 우랄 지역은 물론 러시아 서부 지역 전체에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테첸스키 저수지가 무너질 경우에도 엄청난 핵폐기물이 강물로 흘러들어 재앙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영원자력공사인 로스아톰은 핵시설들에 충분한 보호장치가 돼 있기 때문에 아무런 위험이 없다고 반박했다.

세르게이 노비코프 로스아톰 대변인은 “핵시설들은 지진·홍수 등의 재난과 비행기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해도 안전하도록 설계됐다”면서 “운석 추락에 대비한 설계는 하지 않았지만 운석 폭발로 생겨나는 종류의 충격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065,000
    • +7.33%
    • 이더리움
    • 4,566,000
    • +3.3%
    • 비트코인 캐시
    • 626,500
    • +2.7%
    • 리플
    • 826
    • -0.6%
    • 솔라나
    • 306,400
    • +5.73%
    • 에이다
    • 837
    • -1.18%
    • 이오스
    • 781
    • -3.22%
    • 트론
    • 231
    • +0.43%
    • 스텔라루멘
    • 154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450
    • +1.02%
    • 체인링크
    • 20,150
    • +0.1%
    • 샌드박스
    • 408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