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추고 은폐하고 때로는 책임을 전가하기까지 환경부의 행정점수는 ‘제로(0)’다.
지난 여름부터 전국의 구제역으로 죽은 가축 매몰지에서는 침출수 유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이때마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몰지에서 흘러나온 물은 수질기준을 초과했을 뿐, 침출수는 아니다”라는 말만 되풀이 했다.
구제역 매몰지에 대한 환경부의 2분기 지하수 수질 검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7917개소의 3분의 1이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그러나 이는 축산 폐수와 비료, 퇴비 등에 의한 것이지 침출수로 인한 영향은 아니라는게 환경부의 입장이다.
최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도 가축 매몰지 침출수 환경영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기준 가축 매몰지 300개소 중 3분의 1 가량인 105개소에서 침출수 유출이 확인됐다.
하지만 환경부는 또 궁색한 변명에만 급급했다.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은 매몰지가 100여곳이 아니라 84곳이며 이마저도 의심만 될 뿐이지 아직 단정짓기엔 이르다는 것이다.
이 부처는 지난 10월 말에는 매몰지 이설, 침출수 수거 강화 등에 대한 관리를 농림수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에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각 기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기 보다는 책임을 전가한 것에 불과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구제역 매몰지 사후 관리는 각 지자체가 맡고 있고 원래 총 책임은 농식품부의 소관”이라며 “환경부는 인근 지하수만 관리한다”고 말했다.
구제역은 매년 발생하고 때론 기상악화로 매몰지 침출수가 유출될 수도 있다. 이를 감추기 보다는 국민건강과 환경을 위해 적극 대응하는 메뉴얼을 만드는 게 정부부처로서 해야 할 일이자 국민신뢰를 회복하는 최선의 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