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아파트’공약 전세대란 불러=반값 아파트 열풍은 집값 안정에는 기여 했지만, 전셋값 폭등의 부작용을 불러왔다. 무주택자들이 로또 당첨을 위해 전세입자로 눌러앉으면서 수급불균형에 따른 전셋값 상승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참여정부 3년간 전국 전셋값 상승률은 2.98%에 그쳤지만, MB정부 3년간은 13.57%를 나타냈다. 무려 4배가 넘는 전셋값 상승률이다. 조은상 닥터아파트 연구원은 "저렴한 보금자리주택의 대거 공급으로 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매매시장의 경우 가격 상승 동력이 없어졌다"며 "이 같은 매매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에 전세로 머무르려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시장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집을 살 능력이 있는 수요자들 마저 보금자리 당첨을 바라고 전세에 전전하다보니 주택거래마저 실종되고 있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이 대거 들어서고 있는 수도권의 거래침체가 심각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6월 수도권 주택거래 건수는 1만4489건으로 최근 5년 평균(1만7796건)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이런 거래실종은 집값을 끌어내리며 전세 재계약 수요만 늘려 신도시의 미분양 적체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를 사들여야 할 강남 등 서울지역 전세수요자들의 저렴한 보금자리주택 청약 대박만 기대하는 탓에 자금압박을 견디지 못한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현실화된 것이다. 이에 주택사업에 뛰어드는 건설사는 눈에 띠게 줄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주택사업 등록업체 수는 4906곳. 이는 MB정부 출범 이전인 2007년말 6901곳에 비해 29% 줄어든 것이다. 이같은 주택사업 업체 감소추세는 민간아파트 공급감소로 이어져 전세난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MB정부 초기 종부세 등 각종 세제를 완화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당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유지하거나 더 강화했다면 강남 등 수도권에서 양질의 주택이 매물로 대거 나와 전세난 해소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마찬가지로 보금자리정책도 속도조절 없이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다면 거래 시장 활성화와 함께 주택가격 안정까지 이뤄냈을 것이라는 견해도 적지 않다. 부동산 시장 한 관계자는 “저렴한 분양가로 일부 호평을 받았던 보금자리정책도 속도조절론 등 포퓰리즘에 빠지면서 퇴색돼 버렸다”며 “거래활성화와 가격안정이라는 양립할수 없는 두마리 토끼를 쫓다가 화를 키웠다. 정책 일관성을 포기한 MB정부의 자업자득”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