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의원은 이날 7.4 전당대회 출마선언 직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을 봉숭아학당으로 만든 가장 큰 책임 있는 사람이 대표가 되겠다고 나섰는데 위기의식이 대단히 크다”며 “주위의 걱정과 불안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원 의원은 특히 “(지금의) 위기를 불러온 4.27 분당 패배에 (홍 의원은) 직접적 책임이 있다”면서 “강재섭 후보는 5공 인물로 낙인찍혔고, 정운찬 전 총리는 홍 의원 반대로 길이 막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다 임태희 차출설이 나오니깐 부랴부랴 강재섭 후보에 동의했다”면서 “직을 걸고 강재섭 공천을 막겠다던 분이 과연 직을 걸었나. 누구보다 책임의식을 깊게 느껴야 할 분”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전선을 反홍준표로 설정한 원 의원은 “온몸을 내던지는 희생이 필요하다”며 “전대 결과에 상관없이 내년 총선에 불출마하겠다”고 배수의 진을 쳤다. 그는 “비례대표나 다른 지역구 출마는 물론 내년 대선 이전까지 각종 재보선에도 출마하지 않겠다”면서 “총선 승리와 정권 재창출을 위해 정치인생을 걸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원 의원은 또 당내 일각에서 거론된 나경원 의원과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서도 “단일화는 없다”면서 “모든 것은 당원들이 판단할 문제”라고 일축했다.
원 의원은 대중성을 확보한 수도권 3선으로 유력주자 홍준표 의원에 대항할 범친이계 카드로 주목받고 있다.
-고심 끝에 결정이다. 배경은.
△각오를 다지고 주위 동의를 얻는데 시간이 필요했다. 현 상황에서 당대표는 개인 명예를 위한 영광스런 자리가 아니다. 어느 때보다 어려운 내년 총선에서 지도부는 사즉생의 각오로 총력을 다 해야 한다. 온몸을 내던지는 희생이 필요하다. 제 정치인생을 걸겠다. 전당대회 결과에 상관없이 내년 총선에 불출마하겠다. 비례대표나 다른 지역구 출마는 물론, 내년 대선 이전까지 각종 재보선에도 출마하지 않겠다. 총선 승리와 정권재창출을 위해 모든 것을 걸겠다.
-배수의 진을 쳤다.
△홍준표 의원이 당대표가 돼서는 안 된다. 당을 봉숭아학당으로 만든 가장 큰 책임 있는 사람이 대표가 되겠다고 나섰는데 위기의식이 대단히 크다. 주위의 걱정과 불안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홍 의원이 대표가 되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전선을 反홍준표로 설정하겠다는 뜻인가.
△물론이다. (지금의) 위기를 불러온 4.27 분당 패배에 직접적 책임이 있다. 당에서 어렵게 추천한 후보들 모두를 공격해 상처주고 망가뜨렸다. 강재섭 후보는 5공 인물로 낙인찍혔고, 정운찬 전 총리는 홍 의원 반대로 길이 막혔다. 그러다 임태희 차출설이 나오니깐 부랴부랴 강재섭 후보에 동의했다. 직을 걸고 강재섭 공천을 막겠다던 분이 과연 직을 걸었나. 안상수 전 대표와의 갈등으로 당무 진행이 되질 않았다. 누구보다 책임의식을 깊게 느껴야 할 분이다.
-직전 사무총장으로서의 책임감은.
△함께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책임지고 사퇴한 지도부 인사들이 나오지 않았다면 저도 출마하지 않았다. 더 나은 적임자들이 있다면 당연히 물러서는 게 맞다. 그런데 지금 가장 유력한 후보가 홍 의원 아닌가. (홍 의원이 대표가 될 경우) 당이 어디로 갈지 걱정이 대단하다.
-홍 의원과의 일전을 위해 나경원 후보와의 단일화도 고려하나.
△단일화는 없다. 모든 것은 결국 당원들이 판단할 문제다.
-원조 소장파에서 이젠 친이계 틀에 갇혔다는 지적이다.
△직전 사무총장을 했으니 그런 얘기들이 나오는 것 같다. 공인으로서 직책과 책임 연장선상에서 대립적인 계파구도를 깨기 위해 나름 최선을 다 했다.
-이상득 의원과 이재오 특임장관과의 교집합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명박·박근혜·이상득·이재오, 모두의 교집합이 돼야 한다. 당원과 국민 간 교집합이 되겠다.
-한나라당 위기의 근본적 원인은.
△당내 계파문제를 융합시키지 못하고 대립으로 방치했다. 또 만연해 있는 남탓 의식이다. 스스로 책임지겠다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물론 일차적 책임은 대통령에게 있겠지만 집권여당으로서 공동 책임의식을 느껴야 한다. 그런 웰빙체질이 지금 위기의 근원이다.
-황우여호에 대해 평가하자면.
△그동안 한나라당이 중점과제로 다루지 않았던 문제들을 당 중심으로 다뤄나간다는 부문과 쇄신요구를 수용한다는 측면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문제는 발전적 보수로서의 철학과 정책기조, 그리고 집권여당의 무한책임감, 이 두 가지에 대해선 문제의식이 더 얹어져야 한다. 정부와의 충분한 토론과정이 생략되고, 일관된 철학과 체계적인 정책기조 속에서가 아니라 그때그때 제기될 때마다 돈을 풀어서 임기응변식 대응으로 흐를 수 있다는 부분은 경계해야 한다.